김상현 한국기후변화연구원장

▲ 김상현 한국기후변화연구원장
▲ 김상현 한국기후변화연구원장
‘평화’라는 단어는 늘 상반되는 이미지인 ‘전쟁’이라는 단어를 연상하게 한다.기후변화에 대해서는 세계 각 국가별로 어떻게 이해를 할까?

기후변화는 지구상 전 인류에게 고통과 피해를 주는 공통사항이다.자동차와 공장하나 없는 남태평양 6개 섬나라는 지구온난화로 국토가 가라앉고 있다.전쟁 없이 나라를 잃고 있다.기후변화를 초래한 책임문제에 있어 가해자와 피해자로 구분 되기도 한다.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처음 기후변화협약이 체결된 이후 2015년 파리협정으로 신기후체제에 들어서기 이전까지는 선진국이 가해자였다.산업혁명 이후 지금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의 절반가량을 배출 해왔던 선진국은 역사적 책임성을 가지고 의무감축을 해야 했다.

반대로 저개발국가는 피해자로서 온실가스 감축사업 지원대상국 지위에 있었다.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 지위로 의무감축에서는 제외되었지만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전세계 12위,에너지소비 증가율 세계1위로 선진국과 마찬가지의 감축 압박을 국제적으로 계속 받아왔다.

파리협약 이후 국제사회는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는 없지만 적어도 2℃,가능하다면 1.5℃ 만큼만 상승하는 것을 공동 목표로 정했다.이제 막 개발에 진입한 저개발국가에서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세우고 선진국은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지원사업을 통해 모든 국제사회가 동참하는 것이다.신기후체체에 들어선 것이다.이제 전 세계가 과거의 역사적 책임뿐만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 대한 공동노력을 하자는 차원이다.최근에는 기후변화(Climate Change)가 아니라 기후위기(Climate Crisis)로 바꾸자는 기류가 생겼다.지난 달 스위스에서 막을 내린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의 가장 큰 이슈는 ‘경제’가 아닌 ‘기후 위기’였다.무역전쟁,소득 불평등 확대 등 경제 이슈를 제친 것이다.지난해 12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제25차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5)에서 선진국과 저개발국가간 물밑 마찰이 있었다.저개발국가에 대한 온실가스 저감사업 지원 이행을 담보할 것을 요구하는 가운데 총회는 결론 없이 올해로 넘겨졌다.북한의 경우 유엔 안보리의 경제제제로 기후변화 관련 선진국의 지원사업조차 차질이 생긴데 대해 강하게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이런 가운데 지난해 12월 녹색기후기금(GCF)는 북한의 기후변화 대응을 돕기 위해 유엔식량농업기구를 통한 72만2000달러 규모의 ‘능력배양사업’지원을 승인했다고 밝혔다.이는 GCF의 첫 북한지원사업으로 국제기구도 기후변화 대응사업을 인도적이고 친환경적 지원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이와 연관,우리나라 정부와 강원도의 움직임이 주목된다.

지난해 9월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뉴욕에서 열린 P4G 정상회의에서 국경지대의 ‘평화산림이니셔티브’를 강조하면서 우리나라의 GCF 공여액을 2배로 늘리겠다고 발표한 배경과도 맞물리는 일이라고 본다.

9일부터 3일 간 강원도 주관으로 열리는 2020평창평화포럼에서도 평화와 UN지속가능발전목표를 실천하는 다양한 논의가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북한을 포함한 저개발국가에 대한 기후변화 협력·지원사업이야말로 전 세계가 시급히 동참해야 하는 평화적이고 인도적인 실천과제라는 인식을 공유하는 국제공공외교의 장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