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가 추진하고 있는 '3각 테크노밸리' 조성 계획이 현실화하자면 많은 난관을 거쳐야 할 것이나 지식기반산업 육성 1 단계인 올해에 특히 사업 방향을 더욱 분명히하여 향후 구체적 행동에 들어가야 할 것 같다. 이런 판단은 도내의 지식산업 수준이 일단 일정한 궤도에 진입했고, 경쟁력에 우위를 점하는 분야도 있어서 이 시점에서 다시 한번 자기점검과 미래 전망을 해 보는 것이 또 한번의 발전에 도움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당초 3각테크노밸리 조성 계획은 강원도의 움직임에 앞서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지난 90 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수립된 하이테크산업 구축을 위한 다양한 계획들에 기초하고 있다. 이런 까닭에 광역자치단체의 3각테크노밸리 계획 이행이 기초단체와의 공조 아래 과연 실효를 얻을 수 있는지에 의문의 여지가 없지 않았다. 그러나 역시 도 차원에서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조정, 역할 분담 등의 활동이 있어야 강원도 지식산업의 발걸음이 빨라질 것이며, 이런 관점에서 도의 '3각테크노밸리 계획' 수립은 타당성을 넘어 필수적 가치를 갖는 것이다.

지난 해 5월 도가 발주한 지식기반산업 육성계획 보고회를 통해 이미 기본적 방향이 정해졌으나, 당국은 다시 해를 넘긴 오늘에 권역별 현황을 다시 점검해야 한다. 우선 춘천의 경우 지난 99년 12월에 춘천하이테크벤처타운이 건립된 이래 비약적 발전을 보이고 있지만, 이제 춘천은 첨단산업 발아라는 인큐베이터 수준을 넘어 관주도에서 민영화 방향으로 전개돼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 따라서 도는 생물산업의 농업구조 개선, 애니메이션 인재 육성,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요 개발 등에 관심을 가지면서 민간부문으로의 이행에 일정한 역할을 해 주어야 한다.

원주의 경우는 첨단의료기기산업에 대한 자치단체의 마인드를 더 높이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고, 강릉은 연구 시설 인력 등 상대적 열위(劣位)를 극복할 때까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지금 이 시기가 도 당국이 작년 산업연구원의 용역 발표에서 드러난 방향과 과제를 축으로 삼고 춘천 원주 강릉의 한계를 극복하는 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여야 할 때이다. 향후 1∼2년이 강원도 첨단테크노산업의 발전 여부가 판가름나는 중요한 시기이다. 강원도가 코디네이터(조정자) 입장에 서서 변화 발전의 환경을 만들어 21세기에는 도내 지식기반산업이 계획대로 육성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