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음식점 주인이 쇠고기 수요감퇴가 진정될 것 같다며 "우리나라는 광우병을 안심해도 좋다"는 내용이 언론에 보도됐다고 말했다. 음식점주인의 말처럼 광우병 공포가 정말 진정되었으면 좋겠다. 폐농 직전으로 몰린 소 사육농가들이 힘을 얻고, 문 닫을 판이라고 울상인 정육점과 수입육 판매상, 갈비집 등에서는 매기를 되찾으며, 무엇보다 소비자가 안심하고 쇠고기를 먹게 되길 바랄 뿐이다. 그러나 무얼 믿고 안심해도 좋다는 말인가. 광우병에 대해 "안전하다"고 딱 잘라 말한 사람도 없고, 지금 그렇게 말할 수 있는 사람도 없다. 혹시 그런 분위기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것 아닌가 하는 염려마저 없지 않다.

광우병을 방역으로 퇴치할 수 있는 전염병 정도로 대처하고 있는 정부 당국의 뜨뜻미지근한 태도가 문제다. 이미 알려진 대로 광우병은 변형 단백질인 프리온에 오염된 육질을 섭취할 경우 종을 막론하고 걸릴 수 있는 병이다. 또 최근엔 직접 섭취하지 않더라도, 소부산물로 만든 의약재료, 문구류, 유가공품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질환의 가장 큰 특징은 일단 발현하면 소, 양, 염소 등 동물은 물론이고, 사람에게 쿠루병이나 크로이츠펠트 야콥병으로 전이됐을 때는 100% 사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축장 등에서 소의 가검물 조사를 통해 광우병 발병사례가 없었다는 결과만 가지고 안심운운 할 수는 없는 것이다. 한 건이라도 발병했을 경우는 주변국으로부터 금수조치의 무역봉쇄는 물론 국내 축산기반이 완전히 붕괴되고, 유럽 각국의 실례에서 나타난 것처럼 겉잡을 수 없는 사회적 패닉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위기의식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미 농림부가 지난 연말을 기해 유럽 30개국의 소와 그 생산물을 수입 금지해 "안전에 문제없다"고 발표했다가, 지난 5일 수입금지국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제3국이 유럽의 생우를 수입해 그 가공품을 우리나라에 판 사실이 들통났다. 또 지난해 12월 1일을 기해 소 골분 사료를 쓰지 못하도록 법으로 금지했으나, 아직 광우병 안전국인 미국보다 4년이나 늦게 취한 조치라는 비판도 받는 등 국민의 눈에 비친 당국의 자세는 허둥지둥하는 모습이다. 더구나 지난달 30일부터 음식물 찌꺼기로 만든 사료를 소 사료로 쓰지 못하도록 조치했다고 밝혔으나 여전히 그런 사료들이 버젓이 팔리고 있으며, 역시 소 사육농가들이 "사료값이 싸다"며 계속 쓰고 있는 것을 국민들이 TV를 통해 똑똑히 보았다. 밝힐 건 정확히 밝히고, 조치할 건 단호히 조치하는 것만이 국민불안을 더는 길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