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 일로에 있는 강원도 지방경제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비상구를 찾아야 할 시점이다. 이런 화두를 놓고 언필칭 '지방경제는 국가 경제의 하위 개념일 따름이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지방경제 활로 찾기'에 특별한 대책이 있을 수 없다고 할지 모르나 이는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말이다. 물론 우리 경제는 그 어느 때보다도 어려운 국면에 처해 있다. 미국 경제의 경착륙 현상과 엔화 하락으로 환율이 올라 적지 않은 불안감을 자아내고, 수출 반사 이익도 난망이며 주가도 폭락이다. 따라서 이의 여파로 강원경제 역시 심각한 위기 상황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렇다 하여 중앙경제 침체에 의한 지방경제 동반 추락을 맥 놓고 볼 수만은 없다. 비록 중앙정부가 원칙과 청사진이 부족한 정책으로 일관하고, 근거 빈약한 낙관론으로 국민들에게 오직 '경제 심리전(心理戰)'만을 요구하는 등 경제 험로를 쉬 빠져나가기 어렵다 하더라도 지방 나름대로 지방적 특성을 살려 경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보면 아주 비상구가 없지는 않을 것이다.

강원도의 경제 현실과 전망을 다룬 경제 관련 기관의 다양한 논의나 자료를 바라보는 관점 역시 이와 궤를 같이해야 한다. 즉, 제기된 강원경제 반전의 장애 요소를 극소화하면서 가능성을 찾아 적극적인 활동을 펴야 강원경제의 앞날을 희망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국은행 춘천지점의 '2001년 도내 경제 전망' 자료에선 수출 10% 신장, 자금시장과 자동차나 의료기기 산업의 설비 및 건설 투자 증가 등 강원경제의 호전 가능성을 분석하고 있다. 경제인들의 대담에선 건설 부문 활로를 강조한다. 벤처 쪽에선 '3각 테트노밸리 계획'을 강도 높게 추진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올 강원경제가 '먹구름'으로 지속될 것인가, 아니면 '햇볕'을 기대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대답은 전적으로 지금까지의 이와 같은 각종 요구 지적 제안 등에 각 경제 주체뿐 아니라 행정기관 경제단체 등의 연합·공조 여부에서 내려질 것이다. 특히 행정은 도내 산업 구조가 부가가치산업의 취약으로 경기 침체 때는 타격이 크다는 민감성 등을 감안해 제조업 중심으로 전환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주력산업을 육성하고, 지역의 경제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 대형 기업체 도내 유치에 진력해야 한다.

강원지역의 경제 구조는 연평균 성장률 최저 등 전국에서 가장 허약한 형편이다. 거기다가 각종 국책사업에서 소외돼 왔다. 따라서 경제난에 더욱 험한 길을 걷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언제까지 이럴 수는 없다. 특단의 대책을 세워 비상구를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