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강원도 교류협력사업에서 道가 북측에 대가성 지불을 했느냐는 '설'(說)은 '개연성' 수준이다. 타 지역 자치단체가 대북교류를 추진하면서 거액을 지불했다는 설이 나돌고 있고, 지금까지 대북교류 사업에는 그런 보이지 않는 돈이 북측에 건네지는 것이 공공연한 비밀이었기 때문에 道에서도 이번 교류사업을 성사시키는 데 그런 방법이 동원되지 않았겠느냐는 말 그대로 설에 불과한 것만은 틀림없다. 한편으로는 남북 강원도 교류협력사업이 순조롭게 굴러가는 것과 관련해 '퍼 주기'식 교류라고 주장하는 일부 비판세력들의 말 만들기일 수도 있다. 또 금강산 관광에서 지금 현대가 낭패를 보고 있듯이 강원도도 그런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는 진심 어린 충고로도 해석할 수 있다.

문제는 아무리 설에 불과하다고 하더라도 이런 설이 나도는 것 자체가 시의 적으로 매우 적절치 못하다는 것이다. 우선 남북강원도교류사업은 지난 7일 북강원 연어공동방류를 시작으로 솔잎혹파리 방제사업, 감자원종장 건설, 연어부화장 건설 등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는 점을 유념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사업들이 근거는 없고, 개연성만 있는 비판에 딴죽이 걸릴 상황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들 일련의 사업들은 기업의 대북 투자와는 성격이 크게 다르다. 남북강원도 사람들끼리 동질성을 바탕으로 이뤄지는 사업이기 때문에 다른 어떤 교류보다도 상호 신뢰가 존중돼야 할 처지이다. '이것저것 다 돈주고 하는 것'이란 소문이라면 그 신뢰도 튼튼해질 수 없다는 것은 뻔한 얘기다.

두 번째, 이런 설은 듣기에 따라 정치용으로 확대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당장 시중여론은 "내년 지선(地選)을 겨냥한 흠집내기가 아니냐"는 말까지 들리고 있다. 이런 소모성 논란은 가뜩이나 조기선거 열풍으로 피곤해 진 시정을 더 피곤하게 만드는 빌미가 될 가능성이 있다. 남북교류 사업에 지장이 생기든, 지선 흠집내기든 결국 손해를 보는 쪽은 타 지역 어디서도 못 한 남북교류사업의 성사로 한층 고조된 도민정서에 패배감만 안겨주는 것이다. 따라서 소문의 진원지가 있다면 자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道는 이런 설이 돌고 있는데 대해 '불필요한 오해를 불식하기 위해서라도 남북교류사업의 비용내용 일체를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실 그 부분은 매우 궁금한 대목이다. 남북 강원도의 '상호공동 이익'을 원칙으로 하는 이 사업에서 도민들에게는 어디다 어떻게 돈을 쓰는지 그 투명성이상 더 바랄 게 없기 때문이다. 다만 요즘의 '설'도 이런 '바람'에서 출발한 것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할 수 있다고 본다면, 道의 발끈 하는 듯 한 태도도 지양해야 한다. 자연 진화될 불도 맞불을 잘 못 놓아 키우는 우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