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아산의 정몽헌 회장이 방북일정을 마치고 돌아와 “그동안 협상을 벌여 온 육로관광, 관광특구지정, 관광대가지불에 대해 기본 합의서에 도장찍고 악수했다”고 밝혔다. 현대와 북한의 '금강산 관광 3제'의 조정문제에 합의함으로써 그동안 금강산 관광의 사업성을 보장하기 위해 우선 해결해야할 문제이면서도 풀리지 않았던 난제에 해법을 찾은 셈이다. 고성 통일전망대에서 북한 온정각까지 13.7㎞에 대한 DMZ 통과 육로개설에는 약 600억 원의 자금과 최소한 6개월의 공사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빠르면 내년 봄부터 버스에 몸을 실은 금강산 관광객들이 분단 반세기만에 휴전선을 뚫는 감격을 맛보게 될 것이다. 그리고 관광특구로 지정된 금강산일대에서 더 많은 볼거리와 먹을거리를 즐기며, 질 높은 관광을 즐기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런 큰 줄기는 남북한 당국과 금강산관광 사업의 주체인 현대가 해결할 일이다.

남북 강원도 땅에서 이뤄질 이 기막힌 기회를 어떻게 포착해 주민에게 경제적 수익과 명분을 떨궈 주느냐는 숙제는 사실상 강원도 몫으로 돌아간 것이다. 현대는 기존 뱃길관광을 존속시키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당장, 육로관광이 실현되는 날부터 동해, 속초의 금강산 관광은 시들해질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에 대한 부담은 해당지역 주민이 질 수밖에 없다. 육로관광이 이뤄질 경우 금강산은 간성에서 버스로 30분 정도 거리이다. 이 때문에 강원영북지역은 순 금강산관광객수만 연간 100만 명이 몰려 들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여기에 설악산 동해안 관광 등 기존 관광프로젝트들이 연계된다면, 엄청난 숫자의 관광객들이 육로를 통해 금강산까지 직행할 수 있게 된다.

한낱 피서관광에 불과하던 이 지역에서 이 같은 가공할만한 파급효과를 과연 어떻게 지역이익으로 소화하느냐는 것도 지방자치단체의 '행복하지만 결코 만만치 않은 부담'으로 등장한 것이다. 북한의 관광특구 지정은 지금까지 ‘점(點)분산형 개방'이나 ‘모기장식 개방’과 같은 소극적인 개방자세에서 과감하게 벗어나 채산과 수익에 눈을 뜨겠다는 시사로 풀이된다. 앞으로 금강산 관광에 별다른 탈이 생기지 않는다면, 강원도는 금강산 관광의 배후기지에서 동아시아의 관광거점으로 변신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도 있는 것이다. 강원도 관광은 새판을 짜야할 시점이다. 육로관광시대의 도래를 우연히 '떨어진 떡'으로 보진 않겠지만, 그렇다면 그동안 무엇을 준비하고 있었느냐고 물으면 딱히 대답할 것도 궁색한 게 사실이기 때문에 강원도 관광의 새판 짜기는 더욱 촉구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