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시와 원주시의회가 본격적으로 역외업체 유치 활동을 벌이기로 한 것을 도내 지자체의 전면적 기업유치 드라이브 재가동 신호로 확대 해석해도 좋을 듯싶다. 이 달 초 태백 영월 등 폐광지역 지자체에서 6 개의 수도권 기업체와 입주계약을 한 것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춘천시 강릉시 횡성군 등 다른 지역의 유치 노력과 연계할 때에도 그러하고, 강원도가 수도권 기업 유치를 위해 '도(道)기업유치위원회'를 본격 가동한 지난 3월 이후 꾸준한 활동을 보이는 것과도 무관치 않게 보인다.

이와 같은 전반적인 도내 지자체들의 수도권 기업 유치 드라이브는 동해시같이 집행부가 나서거나 원주시처럼 시의회가 앞장서는 등 거시적 주체 범주에서부터 세제 논스톱서비스 공단분양가 등 미시적 부분에까지 촘촘한 그물망을 이루면서 종래와는 사뭇 다른 양상으로 전개돼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 사실 진작에 이런 공세적 유치정책이 추진됐어야 했다. 최근 수도권 공장총량제 완화 문제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이 거의 전면전 같은 경쟁 및 갈등을 벌이는 상황이라 기업유치는 지역 경제의 사활이 걸린 최대 현안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유치 활동을 본격적으로 가동해야 할 적절한 시기가 바로 지금이란 생각은 설득력 있다. 그러길 원치 않지만 만약 수도권공장총량제가 완화된 이후 더욱 불리해진 여건을 뛰어넘어 지역내 공단의 공동화와 고사를 막고 기업체 유치에 성공하자면 한국 기업사회에 "강원도로 가자"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도의 유치위나 횡성군처럼 '수도권기업체 20 개 유치'와 같은 구체적 목표를 세워 전방위적 활동을 벌여야 하고, 더욱 중요한 부분은 지금처럼 지자체별 각개약진도 좋지만 지자체 간 연대하는 등 조직적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보리밭이 된 북평공단을 살리려고 동해시가 인천 남동공단에서, SOC 확충으로 춘풍을 맞은 원주권의 대기업 유치를 위해 원주시의회 유치특위가 대기업 대상 설명회를 개최할 때 도유치위의 원군이 따라야 한다. 분양가 할인, 물류기지 건설, 논스톱 행정서비스, 전향적 세제 지원 등에 도와 지자체의 협력으로 일관성 있는 정책이 시행돼야 기업유치 명제의 현실화가 다가온다. 행정자치부가 '지방재정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 8월부터 시행에 들어갈 전망이다. 공유지 임대와 매각 등에서 수의계약을 할 수 있어 공장부지 운영에 지자체 운신의 폭이 넓어진다. 이런 변화되는 상황을 활용하고 강원도적 인센티브를 살려 특화된 유치전략을 펼 때 기업유치 드라이브가 성공하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