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의 소규모 학교 운영문제는 강원교육이 안고 있는 딜레마이다. 정부방침대로 학생 수 학급 수라는 물리적 잣대로 이들 소규모 학교를 통폐합하기도 어렵고 그대로 존속시켜 교육재정의 비효율적 투자를 계속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지리적 지형적 특성때문에 타 시도에 비해 소규모 학교가 많은 강원도에서 '작은 학교'를 어떻게 살려나가는가의 문제는 교육청뿐만 아니라 지자체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고민하고 풀어가야 할 과제가 되었다.

정부는 일련의 교육개혁 작업 과제 중 교육재정의 효율적 투자라는 경제논리를 앞세워 수년 전부터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을 추진해왔다. 학생수와 학급수를 기준으로 소규모 학교를 선정하고 이들 소규모 학교를 인접 학교와 통합하거나 분교로 격하시키는 작업을 꾸준히 시행해온 것이다. 학생 수가 10명도 채 되지 않는 분교장이나 30여명 안팎의 학교를 운영하기 위해 교장 교감 교사를 배치하고 운영비를 투입하는 것은 교육재정의 효율적 투자라는 측면에서 분명히 문제가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소규모 학교 통폐합에 부정적 입장을 보여온 것은 지역사회에서 학교가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크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규모가 크든 작든 학교는 그 지역 공동체의 정주기반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학교가 단지 지역주민의 자녀들을 교육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정신적 구심점이 되고 사회 문화 센터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때문이다. 학교가 없는 마을의 주민들은 일차적으로 자녀교육을 근심해 기회가 생기면 미련없이 그 마을을 떠나게 될 것이다. 젊은이들이 떠난 농촌의 고령화는 이미 심각한 사회구조적 문제로 떠오른지 오래다. 이런 상황에서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무리한 통폐합은 농어촌 사회의 교육 문화기반을 흔들어 황폐화 공동화 현상을 부채질하게 될 것이다.

도교육청이 지난 95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소규모학교 협동체제 운영은 농어촌 '작은 학교'들의 활로를 여는 바람직한 방안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작은 학교들이 서로 협력해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학예회 운동회 등 특별 활동 행사를 공동 개최함으로써 제한된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정부가 내세우는 학교운영의 경제성을 충족시키면서 큰 학교 교육에 못지않는 성과를 거두는 방책이 될 것이다. 이미 그 효율성과 교육적 효과가 검증된 것으로 전해진다. 작은학교들이 협동체제로 큰교육을 이룰 수 있다면 굳이 무리한 소규모학교 통페합을 강행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