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오전 고성군은 '금강산 육로관광 대응 전략 보고회'를 가졌다. 육로관광으로 지역에 떨어지는 이익이 무엇인가를 놓고 지역주민 입장에서 이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연히 농특산물 전시 판매장이나 상가 조성 계획 등 지역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사업 발굴과 관광지 개발이나 정비 등이 논의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잘했다, 잘 못 했다'를 논할 게제는 아니다. 다만 육로관광시대 개막을 눈앞에 둔 고성군의 발빠른 대응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사상 처음이 될 이 '호재'를 도민이 이렇게 밖에 받아들이지 못하나 하는 아쉬움이 크다. 관광공사의 금강산 사업 참여를 놓고 찬반 논쟁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여론의 향배를 보아가며 굴러 들어오는 떡이나 기대할 수는 없다는 것이 금강산 사업에 대한 강원도의 입장임은 틀림없다.

그런데도 지방정치·경제·사회·문화계의 '바람'은 기대 밖으로 잔잔하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나오는 고성군의 대응전략은 '군청 내(郡廳 內)수준'을 넘지 못할 수밖에 없는 것이며, 이때문에 전도적(全道的) 대응 전략이 다시 한번 촉구되는 것이다. 현대 입장에서는 남·북고성을 잇는 육로개척이 금강산관광의 누적적자를 메우고, 대북관광사업 확장의 일대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누차 강조해 왔지만, 육로관광은 '배타고 가던 금강산을 차 타고 가는' 수준의 단순한 관광패턴 변화가 아니다. 국민 입장에서는 이 관광이 반세기만에 DMZ가 뚫리는 세기적, 세계적 이벤트인 것이다. 그리고 도민입장에서는 안마당에서 벌어질 이 이벤트를 어떻게 소화해야 하느냐는 당면 과제가 떨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어디선가 이 이벤트를 소화할 준비가 착실히 진행되고 있어야 한다. 도민이 지금 기대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준비상황이다.

물론 道는 고성에 '평화의 문'과 '남북관광교류센터'를 건립하기로 하고, 예산대책까지 마련했으며, 일련의 계획들에 대해 정부와 지차체의 공동보조를 촉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말은 세계적 이벤트라고 하면서 이를 지자체의 행정역량만으로 대응하려는 것 같은 인상이 문제다. 육로관광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착실히 하고, 여기서 떨어지는 실익만 기대한다면 금강산 관광이 '배타고 가다가 차 타고 가는 것'으로 바뀌는 것 외에 강원도에 무엇이 달라지겠느냐고 물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육로는 정부와 현대가 뚫는 것이지만, 이 사업이 벌어지고 있는 강원도에 세계적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안(案)을 발현하는 것은 도민 몫이다. 이 준비에 문화·사회적 역량도 참여할 수 있는 판을 벌여놓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절실하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