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은 강원도 땅에 입주할 공단이 없다면 믿을 사람 하나도 없을 것이다. 땅도 넓고 거기다가 용수(用水)도 충분한데 공단이 부족하다면 누구인들 사실이라 하겠는가. 특히 강원도 영서지방은 수도권과 가까워 공단 기능이 가능한 지역이 많은데 어찌하여 공단이 없다는지 이해할 수 없다. 이렇게 공단이 부족하여 수도권에서 강원도로 이전하고 싶어도 못하는 실정이라니, 이 책임을 누가 지어야 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들이 아무리 정부의 수도권 공장 총량제 완화책을 반대한다 할지라도 공감을 얻기 어려울 것이고, 제대로 준비하지 않은 상태로 수도권 기업체들에게 강원도 땅으로 와 달라고 애원해도 땅이 있어야 실행에 옮길 것이 아닌가. 사실 이런 공단 부족 현상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었다. 횡성 홍천을 포함한 원주권에서는 이미 여러 해 전에 공단 부족 현상이 빚어져 개인 농지에까지 공장을 짓는 일도 벌어졌다. 공단 부족 현실을 타개해 보려고 해당 지자체들이 갖가지 노력을 보여왔던 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때로는 정책의 실수로, 또 때로는 집행부와 의회의 갈등으로 공단 부족 현상을 극복할 제대로 된 정책을 마련해 오지 못한 상태다. 원주의 경우 문막 제2 산업단지를 비롯하여 의료기기 전문공단 신설을 모색 중에 있을 따름이지만 생각만큼 진척도 빠르지 못하고, 국가 지원 역시 가시화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저간의 이같은 사정을 감안하였더라면 도 차원의 공단 수급 계획이 진작에 마련되고 지금쯤 다양한 공단이 조성돼 수도권 기업체들이 속속 자리를 잡아가는 시점이어야 했다.

우리는 도가 지나치게 북평공단의 부정적 예를 두려워하고 있었던 것이 아닌지 묻게 된다. "북평공단이 보리밭 됐다"는 불행한 예는 북평공단만의 불리한 여건에서 비롯됐음을 살필 때 그런 오류를 반복하지 않으려는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있어야 했고, 그리하여 접근성이 뛰어난 영서지방에 대단위 공단을 조성하는 정책이 진작에 시행됐어야 마땅했다. 이 점을 아쉬워하면서, 늦었지만 이제 도가 총괄하여 원주에 수십만 평 규모의 지방공단을 조성하고, 특히 횡성에 22만 평의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대책을 마련 중이라니 기대해 보고자 한다.

공단 조성과 병행하여 아무리 '청정'을 외치고 '접근성'을 자랑한다 할지라도 이전할 기업체들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지 않으면 오지 않는다는 또 다른 교훈을 폐광지 기업유치 과정에서 얻은 만큼 차제에 유치 정책을 총체적으로 재점검할 필요를 느낀다. 바라건대 적어도 다시는 "땅이 없어 이전할 수 없다"는 말이 나오게 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