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를 메우며 떠다니는 초목류, 폐건축자재, 행락지 등에서 버려지는 비닐, 페트병 등 부유 쓰레기가 신종 고민거리를 만들어 냈다. 그런 것들이 언제는 없었던 게 아니다. 그러나 해마다 조금씩 늘어나다가 지난 달 집중폭우 때는 손쓸 수 없을 폭증했다. 주민 공무원 군인이 동원되는 '자연보호활동' 정도로는 전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지자체의 생각지 않았던 재정부담으로 등장한 것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7월 하순 장맛비로 팔당호에 유입된 쓰레기량은 1만t이 넘으며, 수거량은 지난해 1년 치의 150%나 되는 6천500t에 달했다. 전국 11개 주요 댐 부유쓰레기 수거량이 97년 이후 매년 30% 이상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정부가 재정지원을 하든지, 상하류 지자체간 수거비용을 공동부담하든지, 이젠 댐 쓰레기 문제를 '정책'으로 부상시켜야 할 때가 됐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댐 쓰레기의 재정부담으로 엄청난 곤욕을 치르고 있는 사례가 지금 춘천에서 벌어지고 있다. 춘천호에서 1천800t의 쓰레기를 건져내는 것까지는 춘천시가 주둔군인들의 도움을 받아 끝냈다. 춘천시는 이들 쓰레기 가운데 초목류는 잘게 부숴 퇴비로 재생산해 농가에 공급하고, 생활쓰레기는 매립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를 분류하는 과정부터 문제가 발생했다. 자원재생공사와 일반 청소업체가 하루 수십만 원의 손실을 감수하며 분류용 중장비를 무상 대여하고, 군부대가 운반용 차량을 지원해 예정 물량의 15%를 처리했다. 그러나 언제까지 이런 '협조'에 의존할 것이며, 퇴비 생산비용, 일반쓰레기 매립에 들어갈 경비, 인력, 장비를 어떻게 감담할 것이냐는 난제에 봉착하고 있다. 더구나 이 '연례행사'를 계속 이렇게 치를 것이냐는 부담이 관련 공무원들을 난감하게 하고 있다.

댐 쓰레기는 그 상류에서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지역 쓰레기인 만큼 지역 문제'라고 할지 모른다. 그러나 이들 쓰레기의 80∼90%가 초목류이며, 이런 것들은 숲가꾸기, 도로공사등 국민 공공을 위한 사업에서 발생한 것이다. 나머지 10∼20%의 생활쓰레기에 대해서도 강원도 전 산야가 365일 국민휴식지로 제공되고 있다는 사실을 먼저 인식할 필요가 있다. 또 산간농촌까지 농사용 쓰레기도 절차에 의해 처리하도록 환경인식과 제도가 정착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해야 한다. 따라서 댐 쓰레기 문제는 '지역쓰레기가 아닌 만큼, 지역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환경문제'라는 인식의 기반에서 그 대책이 접근하지 않으면 안 된다. 환경 주무부처인 환경부가 나서주기 바란다. 댐 쓰레기 문제는 이제 정부의 관계부처는 물론 지자체, 관계기관에서 공론화될 때가 됐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