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지식인·전문인들이 연내에 '지방 분권화(分權化)를 위한 연대(連帶)'를 구성한다는 소식은 지식인에 대한 종래의 관점을 달리해야 할 만큼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다. 따라서 이는 대단히 주목되는 뉴스다. 생각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지식인다운 지식인'이 드물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지식인들의 정체성과 질(質)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해야 한다는 진단도 있었다. 이것은 우리 사회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대안(代案) 제시로 승화시켜 사회 발전에 긍정적으로 참여해야 할 위치에 서 있는 지식인들이 사익에 무릎 꿇거나 '기득권 지키기'에 열중해 왔다는 비판에 다름 아니었다.

그러나 최근 교수 등 지식 계층의 사람들이 이런 일반적 인식을 깨고, '강원지식연대' 출범을 준비 중인 안동규(安東奎) 교수의 말처럼 "한국의 보편적 대의명분을 토대로…지방의 목소리를 체계적으로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는 등의 입론에 바탕해 적극적인 사회 참여 의지를 밝힌 것이다. 이를 매우 발전적 변화로 보아 지나치지 않을 것 같다. 특히 지방에 사는 지식인들이 이런 지방 분권화의 기치를 높이 들어올리는 것은 비대해진 중앙 집권화를 더 이상 방치해 둘 수 없다는 '자기 사회'에 대한 반성과 성찰에 기초한 것이어서 미래 지향적인 용기 있는 자세라 평가할 만하다.

최근 시·도지사협의회, 시·도연구원협의회, 시·도의회의장협의회 등 지자체 행정 관료 중심 협의체별로 지방재정 확대 등 다양한 지방 분권화 방안을 연구하여 대중앙 논리 수립 및 건의 활동을 벌이는 중이다. 바야흐로 이젠 정말 지식인들이 대안(代案)의 말문을 터뜨릴 때가 된 것이다. 오는 9월 3일 강원도 지식인들이 '지방 분권 실현을 위한 지역 지식인 선언'을 하게 되면 지방 분권화가 지방자치의 확립은 물론 민주주의의 완성으로 한 발자국 더 가까이 다가가는 데 크게 공헌하게 될 것이다.

특히 우리는 고답적(高踏的) 학문 또는 '자기 세계'에서 과감히 벗어나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일단의 '앙가주망' 교수·전문가들의 자세야말로 지식인의 전범이라 믿는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지식인이란 기득권 세력에 맞선 가치와 서민의 이익을 대변하는 학자 예술가 언론인 등의 집합체를 뜻하는 말이다. 지금은 단호히 권력과 금력을 독식하는 '중앙 기득권'에 대응하여 '강원도 논리'를 세워 지방 이익을 대변하는 지방 지식인들이 나서야 할 때다. 강원도 지식인들이 "중앙집권의 폐단을 확실히 깨트리자"고 나선 한 이제 제대로 된 이들 엘리트들에 의해 강원도는 다시 한 번 변전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