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동강 일대가 다음달 중 '자연휴식지'로 지정돼 국내 처음으로 지자체의 체계적 관리를 받게 된다. 문제는 '그동안 지자체별로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주민협의체가 결성되지 않아 자연휴식지 지정이 늦어졌으나 다음달까지는 반드시 지정하도록 강원도에 지시했다'고 환경부가 밝힌 그 배경에 대한 국민의 오해 소지이다. 이 말은 자칫 '국민이 지킨 동강을 동강주민이 망가뜨리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강주민은 피해자다. 과거엔 지독한 개발소외를 받았으며, 영월댐 논란 10년 동안은 외지인들의 땅 투기, 동강 비경이 밖으로 알려진 후로는 '쓰레기 더미' 피해를 입은 것도 주민이다. 그리고 최근 물고기 폐사 사건처럼 동강에서 일어나는 모든 나쁜 일의 직접 피해자는 주민인데도, 곱지 않은 시선은 몽땅 주민이 뒤집어쓰고 있는 게 사실이다.

자연휴식지 지정은 이제 그런 오해의 근원이 어디인지를 밝히고, 동강주민은 비로소 '내 강'을 찾는 계기가 됐다. 영월, 정선, 평창군도 일정구간이 자연환경보전법을 근거로 자연휴식지로 지정되는 이상 이젠 '어느 군이 이익이고, 손해'라는 지자체간 이해 논쟁에 얽매이지 않게 됐다. 따라서 道와 지자체들은 이번 조치를 '이 자연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법적 토대를 마련한 계기'로 삼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으로는 '과연 누가 동강의 위해자'인지를 분류함으로써 누대를 그 강가에서 살아 온 진짜 그 강의 지킴이인 주민이 더 이상 욕을 먹지 않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정선 강화교에서 영월 섭세에 이르는 60㎞ 구간은 3개 지자체가 지난 여름만이라도 한시적으로 '자연휴식지'로 지정하려다 실패한 곳이다.

강이 삶의 수단인 사람은 농민과 어민 밖에 없다. 그들이 강을 보호하겠다는 데 마다할 이유가 없다. 동강보전 대책의 실패 배후엔 반드시 투기든 아니든 동강에 땅을 사두었다가 레저시설로 전환하고 있는 각종 계획, 국민의 '동강 살리기'를 재빠르게 관광수요로 전환시킨 래프팅 등 레저스포츠 업체, 그밖에 가든, 농원 등 도중 승차한 외지기생자본이 있다는 사실을 시인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들이 지금 오지주민이 대를 이어 기다리던 길이 뚫리고, 나루터 집에 민박 간판이 걸리는 지자체의 '작은 개발계획'에 편승해 동강을 팔아먹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런 자본과 세력에 결탁하고 있는 지역의 행정, 인맥의 고리가 있다면 그것도 발본색원하는 지역운동이 일어나지 않으면 안 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