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의 금강산 건봉사지 복원 사업이 예산 부족으로 차질을 빚는다는 보도에 우리가 특별히 관심을 갖는 이유는 제5차 남북 장관급 회담을 통해 금강산 육로관광 실현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것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근본적으로는 지금 이 시대가 전통문화의 강점을 살려 문화 상품을 개발해 세계 시장과 경쟁해야 하는 '문화의 시대'이기 때문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우리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와도 같은 우리의 향토 문화재를 복원해야 하는 상황적이고도 본질적인 이 두 측면에 관한 당국의 대처가 어떠한지를 점검해 보아야 할 시점이 됐다고 본다.

특히 금강산 육로관광이 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서도 꾸준히 추진돼 내년 이맘 때쯤 현실화되면 설악·금강 연계 관광 계획에 의해 강원도의 각종 문화재들이 제 가치를 갖고 본격적으로 관광객들에게 제공돼야 할 텐데, 과연 강원도는 자신 있게 문화재 복원을 통한 질 높은 관광상품을 내 놓을 수 있는가? 우리가 걱정하는 것이 바로 이 점이다. 이런 측면에서 금강산 건봉사지 복원 사업 예산 부족 현상은 하나의 상징적이고도 현실적인 중대 사안 중 하나가 아닐 수 없다.

몇 년 전부터 진행돼 온 임란(壬亂)과 치아사리 등과 관련된 건봉사의 역사 및 불교문화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건봉사측과 고성군의 건봉사지 복원 사업은 오늘의 시점에서 볼 때 마치 금강산 육로관광을 정확히 예견하기라도 한 것 같은 사업이라 기이하다는 느낌마저 준다. 여기에서 시대적 분위기와 절묘하게 맞아떨어진 이 복원사업에 도가 특별한 관심으로 살필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원적암 복원을 마친 이후 예산 부족으로 봉서루 복원을 내년으로 미룰 수밖에 없게 됐다면 내년도 사업인 극락전 복원 및 능파교 보수 사업과 함께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사업 주체의 업 그레이드와 충분한 예산 배정이 따라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도는 먼저 도 전체 예산 중 2.2%밖에 안 되는 문화예산을 확대 편성하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 전북 9.8% 경남 5.9% 등 타시도의 경우와 비교할 때 강원도는 지나치게 문화 인프라 저변 확대 비용을 적게 산정하고 있다. '지역문화의 해'인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문화예산 상승 추세는 지속돼야만 한다. 동시에 적은 비용을 효율 있게 사용하려면 나눠 주기보다 집중 지원 방식이 효과적이라는 지적도 있는 만큼 강원도 문화재의 현주소를 살펴 선별적 지원 계획도 마련해 봄 직하다. 도 관광문화국의 "지역에 산재한 문화 유산의 관광자원화에 적극적인 지원을 한다"는 언급이 금강산 육로관광과 관련된 사업에서 먼저 가시화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