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경지역은 앞으로 DMZ와 함께 한국인의 꿈과 희망을 담을 '미래의 땅'의 땅이라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미처 가치를 잘 모르던 자연, 역사, 문화 자원들이 보전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다 못해 모든 하천이 치수, 개수 등으로 원래의 모습을 다 잃어버렸는데, 그곳에는 아직 천연하천이 흐르고 있다는 것도 그곳을 소중하게 보게 하는 이유 중 하나다. 이때문에 접경지 문제는 개발과 보전의 조화 가 늘 숙제였고, 사실 道가 내놓은 '강원도접경지역종합대책안'도 그런 이유 때문에 비상한 관심거리고 되고 있다. 접경지지원법은 그동안 개발소외의 불이익을 받았던 이 지역에 대해 보상차원의 법취지가 담겨있다. 이 지역의 GRDP(1인당 총생산)가 전국 평균의 58%밖에 안 된다는 것만 보아도 지원법이 생긴 것은 당연할 뿐 아니라, 사실 너무 늦었다.

그렇다면 이 법에 근거한 대책안은 이 지역이 그동안 받아 온 '개발 소외'를 충분히 보상한다는 계획이 당연히 포함돼 있어야 한다. 문제는 이 대책안이 이 지역의 보전 욕구도 충족하고 있느냐는 것이다. 자칫 개발하자는 쪽에서도 환영 못 받고, 보전하자는 쪽에서도 홀대받는 어정쩡한 계획을 내놓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밝혀진 안 그대로라면 강원도 10년 치 예산과 맞먹는 돈을 10년 동안 쏟아 붓는 사업이면서도 지역주민 입장에서 보면 "그것밖에 안 되느냐?"는 주장이 뻔하고, 보전론자 입장에서는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 자연파괴를 한다"고 나설 것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개발이 '유보됐던 땅'에 손을 댄다는 것은 바로 그런 고민이 있다.

그러나 접경지 계획은 그 '유보됐던 땅'에서 해답을 찾지 않으면 안 된다. 접경지 계획은 국민의식과 기술이 선진국 수준에 진입한 21세기에 착수하는 것이며, 당장 '지금'을 위해 손을 대는 것도 아니고, 통일시대 그 후를 겨냥한 '안'이다. 그렇다면 그 '안'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모델이 될 만큼, 모든 가능한 상상력과 재치가 담겨 있어야 하며, 그렇게 됐을 때 비로써 어느 한쪽도 반대 명분이 없는 공통분모를 찾게 되는 것이다. 이 일대는 '접경생물권 보전지역(The Korea DMZ TBR)'도 강력한 정부의지로 추진되고 있다. 접경지 '안'은 바로 그런 외부환경도 수용해야 한다. 이때문에 접경지 문제는 '개발'과 '보전'의 논리를 뛰어넘는 지구적 차원의 상상력이 필요하다. 이 '안'이 확정되기까지 거쳐야 할 공청회, 정부 승인 과정에서는 바로 그런 점을 찾아 담지 않으면 안 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