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취업난이 사회문제로 비화될 조짐을 보여 걱정스럽다. 가파르게 쌓여 가는 35만 명의 취업 재수생에다가 올 대졸 취업률이 사상 최저를 기록할 예상이어서 대졸 노동시장은 그야말로 '취업대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런 전국적 현상에다가 강원도의 경우 건설업에 이어 유통·관광업계에서도 정규직은 뽑지 않고 일부 임시직을 채용할 계획으로 있거나 정규직일 경우에도 서울 본사 계획으로 약간명을 보충할 정도라 특히 지방대 졸업생들의 취업은 최악의 상황을 맞을 것이 분명해 보인다.

이런 현상을 해소해야 할 것이지만 사실 경제난이 계속되는 형편에 어느 특정 분야에다가 일방적으로 대졸생 취업을 보장하라는 요구를 할 수 없다는 답답함이 있다. 그러나 구조적 시스템으로 인해 일정한 인원이 매년 실업자로 전락하는 이른바 '구조적 실업' 현상은 막아야 할 것이다. 우선 대학은 전문성과 경쟁력이 없는 인력을 쏟아내는 부실한 교육을 계속할 것이 아니라 기초학문을 소홀히 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경제 현장과 밀착된 교육과정을 더욱 강화하여 당장 써 먹을 수 있는 인력을 배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음으로 제도적 보완이 절실하다. 그동안 지방대학에서는 상대적 박탈감 및 지방대생 취업률 저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인재 지역 할당제' 즉, 중앙에 근무하는 인재들 중 일부를 지방대생으로 채용하는 제도를 법제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해 왔다. 또 지방근무 인력을 지역인재로 채용하는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그럼에도 아직 이렇다 할 입법화 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기구의 지방이전도 미흡해 지역 인재들이 경제·산업·행정 전반에 기여할 기회를 거의 갖지 못하는 실정이다. 교육부의 '지방대생 지자체 특체 방안'을 놓고 행정자치부가 '공채가 원칙'이라는 반대 의견을 밝혔으니 지방대 졸업생들의 취업난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방대학은 중앙 중심 인력 채용 분위기를 넘어서면서 인력 할당제를 얻어내기까지 끊임없이 대중앙 활동을 벌여야 하고,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구체적 움직임을 보여야 할 때다. 결국 정부 대학 그리고 지자체가 함께 풀어가지 않는 한, 또 산업 현장에서 지방대 출신 인재들에게 인센티브를 주지 않는 한 매년 계속되는 지방대 졸업생의 구조적 취업대란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탈출구 없는 청년 실업 양산 현실이 매우 안타깝다. 이렇게 우리의 노동시장이 특히 청년들에게 가혹한 것은 기득권 세력의 양보가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관련 당국은 상황의 긴박함을 간과하지 말고 조속히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