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도(山林道)인 강원도에서 '임산업 협동화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관련 기업체들의 결의는 뒤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매우 잘한 일이다. 사실 이런 일은 민간 기업이 먼저 나설 일이 아니라 진작에 정부 당국이 아이디어 차원에 머물지 말고 정책적으로 추진했어야 할 일이고, 무엇보다 전체 면적의 81%가 산림이며, 이 산림이 전국 산림 면적의 21%를 차지하고 있는 강원도가 먼저 나서서 산림의 산업화 또는 임산물의 경쟁력 제고에 힘써야 할 일이었다.

물론 보수적 성격을 극복하기 쉽지 않은 당국으로서야 생각은 있지만 구체적 실현의 길로 들어서기에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가령 협동화사업 단지를 어디에 둘 것인가에서부터 논란이 일 수 있다. 재작년부터 '제2 임산물 유통센터'를 강원도에 유치할 것이냐 경북 영덕에 세울 것이냐를 놓고 2 년 간 필요 이상의 갈등을 빚어 온 것을 회상할 때 특히 이런 생각이 든다. 결국 논란 끝에 동해시 망상에 서게 됐지만, 우리는 적어도 임산물에 관한 한 한반도의 '허파'니 '산소탱크'니 하는 강원도가 이런 일로 다른 지역과 경쟁을 벌인다는 사실 자체를 이해할 수 없는 입장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번에 관련 10여 개 기업체가 '목재협동화사업단지'를 원주시 호저면에 조성하는 것은 강원도로서는 특별히 반길 일이 아닐 수 없다. 원주 지역의 교통망 등 사회간접자본 시설이 다른 어느 곳 못지 않게 확충된 현실에서 당연히 목재 관련 산업체의 눈길이 이곳으로 모이고, 결국 협동화단지 조성에 박차를 가하게 됐을 것이다. 이는 그야말로 '탁월한 선택'이라 아니할 수 없다.

중소기업진흥공단 강원본부는 "연 70%의 매출 증대 효과와 연 20%의 원가 절감 효과를 예상한다." 했으며, 공단협의회는 "강원도내 임산자원을 100% 활용해 국산 목재의 부가가치를 높일 것이다." 하고 있다. 이로 보면 산림도인 강원도의 입지 조건을 충분히 살려 국산 목재의 안전 공급을 실현할 수 있으며, 결국 임산 목재의 가공 생산 유통 등에 원가를 줄임으로써 이 사업의 추진 주체인 강원임산협동화사업공단협의회의 경쟁력 강화라는 소기의 목적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남은 문제는 역시 유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자체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용수 전력 등 양호한 입지 조건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지속적인 행정 지원을 펼쳐야 마땅하다. '협동체'는 '각 부분의 합' 그 이상의 힘을 발휘한다. 이것이 '혐동화'에 대한 기대를 크게 한다. 이 달 18일에 있을 관련 토론회에서 이런 문제들이 다양하고 깊이 있게 논의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