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江陵】영동·중앙고속도로 개통 등에 힘입어 도내로 이전하는 외지기업이 크게 늘어나고 있지만 강릉 등 동해안 지역엔 아직 파급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인센티브 제공과 규제 완화 등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7일 동해안 6개 시·군에 따르면 교통망의 대폭 확충에 힘입어 올들어 수도권 등 외지기업 104개 업체가 도내로 이전했지만 동해안 6개 시·군으로 이전한 기업은 9개(8.7%) 업체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동해안 지역은 영동고속도로의 4차선 완전개통, 동해고속도로 4차선 부분개통에 이어 양양국제공항이 내년초 개항하는 등 접근망의 대폭 개선으로 물류비 부담이 줄어들면서 활발한 기업이전이 예상돼 왔다.

그러나 올들어 동해와 양양 각 3개 업체, 강릉과 속초·삼척 각 1개 업체 등 모두 9개 업체만 동해안 지역으로 이전하거나 창업했다.

이는 이 기간 원주권에 60개, 접근망이 열악한 폐광지역에 18개, 춘천에 10개 업체 등 영서권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

강릉지역의 경우 올들어 수산물조미가공업체인 청해물산이 창업한 것이 전부이며 최근 4-5년동안 남강어페럴, (주)두산, (주)풍전 등 3개 업체가 강릉에 공장을 설립한 것외에는 외지기업 유치가 거의 없었다.

이같은 현상은 그동안 교통접근망 미흡과 물류비용의 과도한 부담 때문이기도 하지만 자치단체의 소극적인 기업지원 정책으로 조건이 좋은 산업용지를 마련하지 못하는 등 기업 유인 여건을 개선하지 못한 것도 기업들의 기피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실례로 강릉시는 지난해 기업들의 자금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5년 임대후 분양’ 조건의 ‘전용임대산업단지’조성계획을 세웠으나 과학산업단지의 규모가 커 분양수요가 없을 것이라는 이유로 백지화됐다.

강릉시 관계자는 “보다 많은 업체를 유치하기 위해 이전 기업에는 인센티브를 더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는 있지만 현재로선 외자 유치에 한 해 특별지원이 가능하고 내국 자본에 대해서는 뚜렷한 제도적 지원책이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全寅洙 isjeon@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