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날 장기 한 판을 두며

photo_caption
 고대 중국 삼국시대의 영웅인 위(魏)나라의 조조, 명(明)나라를 세운 풍운아 주원장, 그리고 단종을 폐하고 집권한 조선의 세조. 이들의 공통점은 뭘까? 역사에 그 답이 나온다. 기록됐으되, 이들이 어느 순간 누구에겐가 이렇게 말했다. "그대가 나의 장자방이다!" 혹은 "드디어 나도 장자방을 얻었노라!" 따라서 우리는 잠시 '장자방'에 대해 알아 봐야 할 것이다.
 장자방이란 어떤 인물인가? 본명은 장량(張良)이다. 자방(子房)은 그의 자이다. 한(漢)나라 명문 출신으로, 우리 강원도와도 관계가 깊다. 즉, 강릉 출신이라 전해지는 창해역사(滄海力士)와 함께 진시황을 급습했으나 아쉽게도 죽이는데 실패한 인물이 바로 장자방 즉 장량이다.
 장기판에 그려진 그 초(楚)와 한(漢)의 싸움에서, 장량은 초나라 항우(項羽)에 대결하는 한나라 유방(劉邦)을 도와 나라를 세우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공신이다. 선견지명이 있는 인물로서 장량은 단순히 전투에 이기는 계책만을 알고 있던 모신(謀臣)이 아니었다. 장량의 진면목은 경세가 혹은 전략가로서의 그의 활동에서 드러난다.
 유방이 항우를 앞질러 관중(關中)에 입성했을 때다. 항우에 비해 세력이 미미하기 짝이 없었던 유방으로선 처음으로 맞는 큰 승리였다. '관중에 먼저 들어가는 쪽에게 관중왕의 칭호를 주겠다'는 진(秦)나라 회왕의 말을 생각하면 유방은 천하를 얻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대목이 유방에게 가장 위험한 순간이었다. 왜 그러한가? 유방의 군대란 항우 군단의 일개 하위 부대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장량은 정세를 냉철하게 읽어, 관중 땅에 먼저 입성했다는 사실에 취해 전체 국면을 보지 못하면 대세를 그르친다고 판단했다.
 그리하여 장자방은 약탈을 금하고, 관중 땅을 항우에게 주자고 유방에게 권한다. 이에는 은혜를 베풀면 인심을 얻게 된다는 정치적 계산도 깔려 있었다. 뒤이어 관중에 입성한 항우군이 약탈을 일삼아 인심을 잃자 계산대로 유방이 황제 재목으로 평가받기 시작했으며, 이렇게 하여 항우를 제치고 유방을 도와 결국 천하를 통일한 장자방은 한자문화권에서 '전략가' 또는 '참모'를 지칭하는 대명사가 된다.
 한나라 유방에게 장량이 있었듯 공자에겐 자로가 있었고, 예수에겐 뒷날 사도바울이 나타난다. 촉한(蜀漢)의 유비에겐 제갈공명이 있었으며, 주(周)나라 무왕에겐 강태공이, 위나라 조조에겐 순욱 혹은 사마중달이, 주원장에겐 유기가 있었다. 견훤에겐 최승우, 왕건에겐 최응, 이성계에겐 정도전이, 뒷날 태종이 된 이방원에겐 하륜이, 수양대군에겐 한명회가 있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옆엔 이시다 미쓰나리가, 마오쩌뚱(모택동)에겐 저우언라이(주은래)이, 닉슨에겐 키신저가, 빌 게이츠 곁에서 스티브 발머가 보좌했다. 하아, 전두환에게 장세동, 노태우에겐 박철언이 있었지. 나름대로 인물 옆엔 그를 만든 또 다른 인물 '장자방'이 있었다. 그러므로 '장자방'이란 곧 '훌륭한 참모'를 말한다. "드디어 나도 장자방을 얻었다."고 즐거워한 것은 '능력 있는 참모'의 역할이 지도자의 성공에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큰지 말해주는 것이다.
 '장자방'은 '모사(謀士)' 또는 '책사(策士)'라는 말보다 의미가 깊다. 조조가 순욱을 얻었을 때 '모사나 책사를 얻었다' 하지 않고 "자방(子房)을 얻었다."며 기뻐하지 않았는가.
 지금 강원도엔 '장자방'이 없다. 동계올림픽을 놓고 천하와 또 겨루겠다는 강원도에 '장자방'이 없다. 그러므로 두 번 실패했고, 지금으로선 앞날의 성공을 예측하기 어렵다. 분석과 성찰, 그리고 뼈아픈 자성과 겸손한 반성이 없는데도 강원도는 삼수하겠다고 벼른다. 제대로 된 전술 전략을 세울 '장자방'이 없는데도 말이다.
 이 무더운 한여름 정자에 앉아 장기 한 판을 두며 떠올려본 옛이야기다.
<이광식 논설실장 misan@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