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5·16 군사쿠데타 이후 민정으로 가는 도중 한 때 반짝였던 ‘국민의 당’이라는 게 있었다.

1963년 정초부터 정치활동이 재개되고 이해 10월 15일 민간정부 수립을 위한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여당인 공화당은 박정희 최고회의 의장을 후보로 선출한 반면 야권은 사분오열된 상태였다. 이에 따라 위기의식을 느낀 재야의 지도자들이 단일 후보를 내세워 집권을 위해 결성키로 한 것이 통합야당인 ‘국민의 당’ 이었다.

당시 야권의 유력한 대통령 후보로는 윤보선 전 대통령, 허정 과도정부수반, 김병로 전 대법원장, 이범석 초대국무총리 등이 꼽혔다.

대선 40일전인 1963년 9월 5일 상오 서울 시민회관에서 야권의 각 정당·정파들이 모여 국민의 당 창당대회를 열었다. 많은 국민도 그렇고 모든 야당인사들의 최대 관심은 대통령후보에 누구를 내세우느냐와 대선 한달 후로 예정된 6대 국회의원 선거에 나설 후보의 공천비율이었다.

대선후보 선출의 순서가 되자 이범석이 등단 “군인들에게 빼앗긴 정권을 되찾기 위해서는 항일 애국자이나 나라의 원로인 가인(김병로의 아호) 선생을 내세워야 한다”고 제의했다. 이에 윤보선은 “가인 선생은 국민이 존경하는 애국자이지만 고령이고 건강이 좋지 않아 젊은 박정희 후보와 대결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연부역강한 인물을 지명해야한다”고 역설했다. 윤보선이 완강하게 반대하자 이범석은 울먹이면서 “권력에 대한 욕심을 버리지 않으면 정권탈환은 불가능하다”며 가인 추대를 거듭 주장했다.

다음날에도 가인 찬반론이 계속되자 민정당의 2인자인 유진산은 윤보선에게 “전국민은 재야세력의 단합으로 군정을 종식시킬 것을 바라고 있으므로 허정에게 양보하라”고 권유했고 윤보선은 “차라리 병약한 가인을 추대할지언정 허정은 안 된다”며 화를 냈다. 연 4일간 계속된 찬·반 토론에도 합의를 이룩하지 못하게 되자 민정당은 이탈했고 윤보선은 독자 입후보했으며 라이벌인 허정도 국민의 당 후보로 등록했다. 결국 야당후보들이 난립한 가운데 투표일 10여일 전에 허정이 사퇴했으나 야당포의 분산으로 윤보선은 박정희에게 15만표차로 졌다.

한나라당을 탈당한 이회창 전 총재가 뒤늦게 출마선언을 한 이후 지난 한주일 동안 대선정국은 태풍과 폭풍이 휘몰아치고 거대한 쓰나미가 몰려와 혼란이 계속됐다. 대선정국에 지진이 발생한 것이다. 그는 한나라당의 이명박 후보의 대북정책 등이 불안하고 국민의 신뢰감 등이 미흡해서 나왔다고 출마이유를 밝혔으나 지난 두 차례의 대권도전이 공작과 모략에 의해 억울하게 패배했다는 판단아래 3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의 뒤늦은 출마는 국민을 비롯 모든 여야 후보 진영에 놀라움과 배신감을 주었고 지지율감소와 지지층 감소·정체 등의 피해를 준 게 사실이다.

물론 이 전 총재의 출마가 여야 진영에게 뜻밖의 자극제가 된 것은 분명하다. 범여권에게는 후보단일화와 합당을 촉진케 했고 한나라당에게는 이명박 후보의 자성과 양보로 집안화해의 계기를 마련케 한 것이다.

그러나 그의 출마로 국민과의 약속은 식은 죽 먹듯 위반하는 전례가 됐고 또한 대선의 핵심적 역할을 해야 하는 정당과 정책 대신 반칙과 변칙의 충격으로 대선정국을 더욱 혼미에 몰아넣게 됐음은 큰 책임을 느껴야 할 것이다. 이제 후보등록은 11일, 선거일은 36일 앞으로 다가왔다. 금주 말 김경준의 귀국 등을 비롯해 여러 차례의 메가톤급 중대선언과 발표·폭로 등으로 대선분위기가 어떻게 요동을 치게 될 것인지는 아무도 예측하기 어려울 것이다.

“나 아니면 당선될 수 없다”는 독선과 아집으로 44년 전 국민의 당의 좌절과 실패를 되풀이할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 국가발전과 국민이익보다 18대 공천권에 대한 욕심으로 대사를 그르칠 가능성 또한 많다. 요즘같이 어지럽고 혼돈스런 대선정국에 국민들은 비상한 관심과 주의로 진짜 일꾼과 가짜 일꾼을 가려내야 할 것이다.

언론인·전 고려대 석좌교수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