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인 수
환동해연구소 이사장
1995년, YS 정권 시절 느닷없는 시·군 통합 음모에 의해 명주군이 강릉에 흡수 통합되어 그나마 명주군 수부였던 주문진의 위상이 여지없이 추락하고 말았다. 통합 당시 주문진 인구는 2만8522명이었다. 그로부터 10여년이 흐른 지금 2007년 9월 30일 현재 주문진인구는 2만1468명으로 급감하고 있다. 이러한 통계는 1940년 인구 2만의 신리면에서 주문진읍으로 승격 당시 인구와 같아 67년 전 과거로 회귀하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던 주영초등학교는 한때 49학급에 3168명의 재학생이 있었지만 현재 178명으로 통폐합 위기에 몰려 있다. 유일의 인문계 주문진고등학교 역시 1996년도만 하더라도 24학급에 1014명이었으나 올해 9학급에 251명으로 명맥 유지에 급급하여 존폐의 위기에 봉착해 있다.

주문진읍 사람들은 당초 통합을 강력히 반대하였다. 소위 문제투성이인 관주도의 주민투표에서 주민 75.6%가 반대한 것에서도 잘 알 수 있다. 그러나 명주군 전체 57.1%라는 숫자 놀음에 의해 마치 한·일합방(韓·日合邦)처럼 흡수 합병된 것이었다. 그 때의 관에서 혹세무민한 달콤한 선전은 통합되면 주문진읍이 더욱 발전할 것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통합이 되자마자 주문진은 강릉 쓰레기 매립장으로 전락해야 했다. 그리고 석양에 지는 해처럼 퇴조를 거듭, 서서히 붕괴되기 시작하여 희망이 없는 동네로 변해 이젠 제대로 된 일자리가 없어 20대 젊은이를 보기 힘든 늙고 초라한 신세가 되어 버린 것이다. 뒤늦게 강원도의 특단의 정책에 의해 행정자치부에서 지원하는 ‘소도읍가꾸기사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하지만 이것은 필자가 도의원 재직시 시군통합에 대한 대책 촉구 차원에서 강원도에서 행자부와 협의하여 추진한 사업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구체적 내용을 보면 속빈 강정임을 알 수 있다. 전체 사업비 267억 중 강릉시에서 137억 원을 부담하고 있는데 이 중 주문진읍청사 이전 신축 비 72억 5000만원과 강북운동장 조성비용 51억9100만원이 포함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읍사무소청사 신축비와 공설운동장 조성비용은 엄밀히 따진다면 소도읍가꾸기사업의 일환이 아닌 강릉시의 중장기 계획에 의해 별도로 이루어져야 함에도 소도읍가꾸기 사업에 끼어 넣어, 예산 압박에서 벗어나려는 것은 꼼수에 불과하다고 할 것이다. 결국 주문진읍은 소도읍가꾸기사업이란 미명으로 강릉시에서 부담한 예산 137억 원의 실체를 분석하면 빛 좋은 개살구라고 아니 할 수 없다. 주문진은 수산업 사업은 사양길에 접어든지 오래이거나 선주 대부분이 힘겨운 빚에 허덕인다. 배를 내 놓아도 당장 팔리지 않아 정부에서 감척이란 이름으로 수매해주길 고대할 뿐이다. 저소득층과 근로 대중 고용창출에 크게 기여했던 지역경제의 메카인 오징어 가공업체 역시 내리막길에 도산 하는 업체가 속출하고 어렵게 가동하는 업체 역시 불확실한 미래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곳곳에 가게가 텅텅 비어도 세입자가 늘지 않는다. 상경기가 바닥을 친지 오래이다. 부둣가 난전(亂廛)이 호황을 누린다고 하지만 소수 상인에게만 이해가 얽혀 있을 뿐이다. 체류형 관광명소 다운 볼거리, 즐길거리 하나 없는 파시(波市)일 뿐이다. 1999년 주문진에 해양박물관(300억 규모)과 어촌 민속박물관(60억 규모) 건립의 기회가 있었지만 강릉시의 철저한 차별 정책으로 천재일우의 기회를 놓쳐 버린 버림받은 동네가 바로 주문진읍이다. 시·군 통합이 된지 언제인데 환동해정책연구소의 주장에 의해 이제 겨우 주문진종합개발 계획을 성안 중에 있다는 것 자체가 그동안 강릉시가 변방 주문진읍을 서자(庶子) 취급하여 ‘나리까’라고 괄시해온 증거라고 본다. 강릉시는 더 이상 주문진읍을 서자(庶子) 취급 하여 괄시하지 말아 주길 충고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