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도내에서 치러진 축제는 시·군 대표축제 18개와 민관공동 이벤트 58개 등 모두 76개. 축제기간을 평균 4일로 볼때 수치상 1년중 300일 동안은 도내 어디에선가 축제가 열렸던 셈이다.

축제를 다녀간 관람객은 도내 147만5천명, 타시도 91만1천명, 외국인 9천명 등 모두 239만5천여명으로 774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나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측면에서는 일단 성공이라는 평가를 들을만 하다.

그러나 내막을 조금만 들추어 보면 얘기는 달라진다.

전국의 타시·도와 비교하면 호평받는 축제가 적다. 문화관광부가 올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관광축제로 지정, 발표한 ‘집중육성축제’ 10개 중 도내는 단 1개도 없으며‘지역육성축제’20개중 도내는 3개에 불과하다.

이처럼 도내 대다수의 축제가 참관평이나 외래관광객 유치, 방문객 설문결과면에서 점수가 낮게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큰 이유는 특성의 결여. 지역의 고유한 소재와 문화를 발굴하려는 노력은 미흡한 반면 자치단체마다 경쟁적으로 축제를 만들다보니 강릉 단오제나 춘천 마임축제, 인형극제, 송이축제 등 일부를 제외하면 ‘그 나물에 그 밥’이란 소리를 들을 수 밖에 없는게 현실이다.

또 축제들이 일정 시기에 집중되는 것도 문제다. 4∼5월, 9∼10월이면 지역명, 명승지, 특산물 이름을 앞세운 비슷비슷한 축제가 동시다발적으로 열려 축제의 의미를 반감시키는 것은 물론 관광객 유인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전시효과 위주로 기획된 일부 축제의 베껴먹기 경쟁은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듯’ 기존의 건실한 축제의 이미지까지 실추시키는 상황이다.

다행스런 것은 이러한 문제점들이 일선 시·군의 주민들로부터 제기돼 조금이나마 고쳐지고 있다는 것. 지난해만해도 일선 지자체들이 주민토론회 등을 거쳐 춘천눈얼음축제, 함백산등반제 등 지역대표성과 상품성이 떨어지는 7개 축제를 폐지하는 바람직한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고 해도 아직 갈길은 멀다.

축제문화도 다른 부문과 마찬가지로 경쟁을 통해 확산되고 소멸됨으로써 경쟁을 통한 발전에 다소 긍정적 영향을 줄수 있지만 여기에는 당연히 비용 부담의 문제가 개입한다. 무한정 인력과 예산을 낭비하기 보다는 다양한 의견수렴과 논의를 통해 ‘추릴 것은 보다 일찍 추릴 수 있는’지혜가 필요한게 우리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올바른 축제문화를 위한 조건은 무엇일까.

첫째 민간에서부터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는 점이다. 단오제, 마임축제, 인형극제 등 도내에서 성공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대부분 축제들은 민간의 주도로 시작된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해 ‘민선단체장들이 경쟁적으로 만든 축제들은 해당 단체장의 임기가 끝나면 20∼30%는 사라진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기반이 약한게 사실이다.

둘째 축제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경제적 이익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축제의 기본 목적은 지역문화의 지평을 넓히는데 있다. 단기간의 경제적 이익을 노리고 시작하는 축제는 생명력이 짧을 수 밖에 없다.

셋째는 행정의 몫이다.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갖고 축제의 전문성 제고나 마케팅 분야의 조언에 머물러야 한다. 또 직접 수익보다는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성과로 축제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자세도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자신들의 축제를 사랑하고 함께 즐기는 것은 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는 지역주민들의 몫이다.

趙眞鎬 odyssey@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