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가장 기본인 의식주 중 집의 종류로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 가, 택, 옥이 있다. 그리고 실, 방, 규, 암, 로, 사, 숙, 우, 관, 사, 각, 장, 재, 우, 주, 당, 대, 루, 묘, 저, 시, 부, 원, 궁, 궐, 전, 정, 헌, 서, 관, 곽, 상, 하, 폐, 해, 고, 포, 점, 기, 토 등 무수히 많다.

우리 선인들은 용도와 위치, 경관에 따라 집을 짓고 걸맞은 이름을 명명하여 멋과 풍류를 즐기며 격조와 삶의 질을 높여 왔다. 며칠 남지 않은 세 밑에 초가삼간 하나 없어 추위에 떨며 집 없는 설움에 지친 서민의 아픔을 헤아려 본다.

수십 채의 집을 갖고 떵떵거리는 졸부가 있는가 하면 어떤 인사들은 고대광실 제집을 제쳐두고 더 넒은 청와대에 들어가고자 혈안이 되어 싸우고 있다.

필자는 옛 선인들의 풍류를 흉내낼 양 집 앞 밭머리에 자그마한 원두막 한 채를 지었다. 어찌 하다보니 다락이 생겨 흡사 2층처럼 되었다. 어줍잖게 이름을 짓기로 마음먹고 고심 끝에 단층은 우화정, 다락은 동천루라 명명했다. 그 속뜻은 각자의 식견에 맡기고 내 딴에는 곤충의 번데기가 변태 과정을 거쳐 날개가 생겨나는 것을 우화라 했다. 나 역시 계속 변화 발전코자 하는 열망과 또 평소 신선에의 동경이 강렬했던 내 오랜 마음의 나래를 펴 위 다락에라도 날아오르고픈 소박한 꿈을 담아 동천이라 했는데 이런 내 꿈이 너무 야무지다 탓하지 말아주길 바란다.

현실이 따라주지 않는다고 꿈마저 접어서야 그게 어디 산 사람이랄 수 있겠는가. 나는 앞으로도 끊임없이 이런 꿈을 꾸련다. 혹 지나는 길손 들러 쉬어가도 좋고 정겨운 친지 오면 더 좋고 ‘유붕이 자원방래면 불역열호아’라 하신 공자의 말씀처럼 지기 찾아오면 더 없이 좋으련만 혹 찾는 이 없으면 어떠랴.

내 평생의 지기 내자 혜원과 더불어 몇 잔 술 비우며 마음도 비우고 풀내음 꽃향기에 취해 스쳐가는 바람결에 세상사 얻어 듣고싶다. 이마저 시들해질 양이면 음풍농월과 운외한담으로 안빈낙도하며, 청산을 벗 삼아 바람처럼 구름처럼 그렇게 살아가리라.

이에 칠언절구 한시를 지어 심상을 표출해본다.

何人祈願病無康 사람은 누구나 병 없이 건강하길 원하고, 不老長生不死望 늙지 않고 죽지 않고 오래 살기 바라지만, 性命兩修神鍊達 천부의 성과 명을 닦고 정신을 연달해야, 登仙羽化洞天宮 우화등선하여 신선의 궁전에 오르리라.

장유경·춘천시 서면 현암리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