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순 직

원주 문막장로교회 목사
최근 들어 우리 사회에 특정 종교의 부정적인 모습이 두드러지게 부각되고 있다. 종교는 사회의 밀접한 연관 속에서, 사회 속에 녹아 사회인들의 삶에 도움을 주어야 하는데, 오히려 사회생활에 피해를 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 특정종교를 기독교로 말하고 있다.

오늘날 기독교가 사회에 비친 모습은 어떠한가? 왜 기독교가 사회에 부정적 모습으로 보이는가?

첫째, 기독교를 종교적이지 않다고 보고 있다. 진리 체득에 있어서 치열함, 자기 욕망을 부정하는 모습, 이타적인 사랑의 실천, 세상 가치관을 뛰어 넘어 사는 사람들의 삶, 재물과 명예와 권세에 초연한 모습, 빈부귀천과 상관없이 모든 사람을 귀하게 여기는 자세 등 이런 기본적인 측면에서 한국 기독교는 사회에 종교적인 감화를 주지 못하고 있다. 종교에서 나타나는 인간을 감동시키는 종교의 근본정신이 사라졌다고 보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온갖 상처를 싸매어 주고 치료해주며 모든 사람의 발을 씻어줌으로 겸손히 자비를 행하고 사랑을 실천하는 봉사자, 자선가, 정치가가 되게 하는 것이 기독교이다.

둘째, 기독교를 윤리적이지 않다고 보고 있다. 한국 기독교는 역사 초창기에 윤리적인 삶에 있어 한국 사회를 선도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최근 한국 기독교의 지도자들과 성도들에 대한 윤리적 평가는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다. 교회 지도자들이나 성도들의 삶이 일반 사회인들과의 삶과 비교하여 더 나은 점이 없다는 것이다. 교회는 비록 타락한 세상의 한 가운데 놓여 있지만 그것은 ‘에클레시아’로서의 성별성, ‘그리스도의 신부’로서의 순결함, 그리고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세상이 알지 못하는 신비함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의 윤리가 시민 사회의 그것보다 탁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비난과 정죄와 심판을 넘어 대안을 찾고 책임을 강조하는 탁월성을 지녀야 한다. 기독교인들의 언행일치, 근검, 절약, 자기통제, 진실한 생활 등 건실하고도 모범적인 삶, 그리고 정의와 정도의 추구하는 윤리적 삶은, 한국 사회에 바른 기독교를 비추며 이해시키는 첩경이다.

셋째, 기독교는 거짓에 대하여 침묵하고 있다. 거짓으로 기독교를 가장해 사회에 적지 않은 피해를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독교는 마치 자신의 일이 아니라는 듯 해결하려는 모습이 전혀 없다. 기독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처럼 행동하는 이들에게 침묵은 기독교로 인정해 주는 꼴이 된다.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인 기독교가 사회의 길과 방향을 제시해 주어야 함에도, 오히려 침묵한다면, 기독교의 정체성은 퇴색해 버릴 수 있다.

기독교는 이 사회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기독교는 복음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사회를 섬겨야 하며, 그리스도의 빛을 비추어야만 한다.

기독교는 우리 사회의 온갖 상처를 싸매어 주고 치료해주고, 모든 사람의 발을 씻어줌으로써, 겸손히 예수님의 자비를 행하고 사랑을 실천하는 봉사자가 되어야 한다.

이제 한국 기독교는 사회가 바라보는 우리의 부정적 모습을 인정하고, 참된 반성으로 시작하여 이 사회에 참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보여주어야 한다. 죄 있는 인간에게 찾아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말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