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순방 자원외교 성공리 마쳐
당·정·청 ‘엇박자’ 총리실 기능강화 여론

   
한승수 국무총리가 자원총리를 넘어 국정의 전면에 등장할 수 있을까.

한 총리는 21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 11∼20일 계속된 자원외교성과를 설명했다.

한 총리는 이날 “투르크메니스탄 베르디무하메도프 대통령이 자국의 해상광구 3개를 한국에 개방해 공동개발하자는 의사를 밝혔다”며 “투르크메니스탄의 추정 석유매장량은 10억배럴이고 투르크메니스탄 자체 추산으로는 350억배럴에 달한다고 한다”고 큰 기대감을 피력했다.

한 총리는 그러나 간담회 말미에 광우병 사태를 둘러싼 여권 내 혼선, 총리기능 강화 등에 대한 질문에 대해 “저 나름대로 생각이 있지만 오늘은 자원외교와 관련한 자리이기 때문에 다음번에 얘기하고자 한다”고 말을 아꼈다.

한 총리의 자세낮추기는 새로운 일은 아니다.

이미 국무총리실 업무조정과정에서 국정조정 기능은 청와대로 넘어갔고 동시에 조직도 대폭 축소되는 과정을 겪었다. 한 총리 스스로도 총리실의 조력자 기능에 중점을 두고 일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미국산 쇠고기수입개방을 비롯해 각종 현안과 관련, 당·정·청 간 엇박자가 계속되자 총리실의 기능에 다시 주목하기 시작했다.

한 총리는 지난 8일 미국 쇠고기 협상과 관련해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다.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는 “총리실의 부처에 대한 지휘 감독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총리실의 기능강화를 주장했다. 총리실 내부에서도 국정홍보기능을 포함한 기능강화방안이 검토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총리실 고위관계자는 “당초 총리실에 국정홍보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지만 결국 청와대의 결정이 중요한 것 아니냐”고 총리실의 역할에 기대감을 보였다.

또다른 관계자는 “일각에서 과거의 책임총리를 내세워 현재의 총리실을 평가하고 있지만 과거의 총리실이 오히려 문제가 있었던 것”이라며 “기능강화는 현재로써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와 관련해 기능강화 쪽보다는 긴급 현안에 대해 총리와 관계 장관 회의체를 구성, 대책을 마련하는 선에서 업무조정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한 총리가 이번 자원외교를 통해 국내외의 폭넓은 네트워크를 재확인하고 이를 통해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됨에 따라 한 총리의 향후 역할에 기대를 거는 시각이 적지 않다.

더욱이 풍부한 국정경험과 유연한 정치력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여야간 대치국면에 윤활유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한 총리의 행보가 주목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서울/송정록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