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 형 기

홍천군 서석면번영회장
지난번에 화학비료값이 평균 63% 인상되었다.

비료가격이 오르기 한동안 전부터 전국 농협에서는 비료 구입전쟁이 벌어졌었다.

농사일로 가뜩이나 바쁜 농민이 새벽부터 농협에 몰려와 비료를 구입하려고 줄을 서고 몇 시간씩 기다려 몇 포대의 비료를 타가는 진풍경이 벌어지더니 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가격 폭으로 비료값이 인상되었다. 고유가로 어쩔 수 없었다는 것이 관계자의 말이다. 그러나 아무리 기름 값이 뛰고 물가가 오르고 한다 해도 63%의 비료가격 인상은 상상을 초월한 가격이다. 일반 공산품가격이 이렇게 오르는 경우가 있었나 싶게 뛰는 농업용 자재 값의 인상은 농민을 너무 힘들게 하는 것 같아 맥이 빠진다. 비료가격이 63%밖에 안 올랐다고 하지만 지난 2월초에 화학비료가격이 23%나 올랐고, 이어서 6월19일에 또 올랐으니 결과적으로 비료값은 거의 곱이 되는 가격이 올랐다고 본다. 그러나 이 비싼 가격의 비료로 지은 농산물의 가격은 오르기는커녕 지난해 가격을 웃돌지 못하고 오히려 하락한 농산물가격도 적지 않다. 그러면 농민의 생활은 어떤 경제논리로 먹고 살 수 있다는 이야기로 설명될 수 있단 말인가.

어느 농민은 한숨 섞인 목소리로 “내가 왜 농사꾼이 되어서 이런 고통을 당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라고 하며 농사를 직업으로 선택한 것에 대하여 한탄 하는 목소리를 듣고 오죽 힘이 들면 이런 얘기를 하겠는가 싶어 마음이 쓰려온다.

농사꾼이 된 것 그 자체로 이런 고통을 느끼게 한다면 이는 분명 현재로서는 공평한 대우를 받는 직업인이 되지 못한 게 맞는 것도 같다는 생각이다. 생산원가가 올랐으니 소비자 가격을 올린다고 하며 밀가루가격이 오르자 이어서 라면값이 치뛰고 자장면 가격이 대우를 받으며, 국제 원유가격이 올랐다고 기름값이 하늘 높은줄 모르게 오르는데 한편에서는 농자재 값이 올랐다고 하는데 농산물 가격은 왜 제자리에서 맴돌며 어떤 품목은 하락하는 가격을 형성하는가. 공산품도, 농산품도 똑같이 산업역군들이 만들어냈는데도 농산물 가격은 어찌 이리도 대우가 다르단 말인가.

시장경제논리에 무언가 잘못된 부분이 있는 건 맞는 것 같은데 하는 억울함이 앞선다.

정부는 벼랑 끝으로 몰리는 농촌을 살리기 위한 극약처방을 조속히 내놓아야할 때가 된 것 같다. 정부와 농협이 비료값 인상분의 70%를 분담하기로 했다고 하지만 이것도 금년에 한하여 우선은 현금으로 구입하고 연말에 가서 정산하여 지원을 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단다. 이는 발상자체가 언 발에 오줌 누기요,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의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본다. 정부가 휘청거리는 농촌을 생각한다면 과감하게 2004년도에 폐지된 ‘비료값 차손 보전 지원제도’를 다시 도입해서라도 이중 삼중고에 허덕이는 농민의 고충을 덜어주어야 할 것이다. 소고기 수입문제로 축산농가가 불안해하는 농촌에 다시 농자재 값의 인상에 이어 비료가격의 급등은 정말 살맛 안 나는 농촌으로 몰아가고 있다.

국민의 생명산업인 식량을 책임진 산업전사들에게 너무 힘만 들게 하는 것 같아 농촌의 미래가 불투명해 보인다. ‘농자천하지대본’은 슬그머니 뒤로 숨어버리고 ‘농자서자지대본(農者庶子之大本)’의 대우를 받는 건 아닌가 싶다.

젊은이들이 기피하며 떠난 농촌에 그래도 한줄기 희망이라면 정부는 식량의 안보차원에서라도 설상가상의 처지에 놓인 농촌을 생각해주는 정책이 가뭄에 단비 내리듯 펼쳐지기만을 고대한다.

그리하여 어려운 농촌이 농자천하지대본의 자존심을 가지고 희망 찬 모습으로 농사를 천직으로 알고 힘 있게 농촌을 지켜나아 갈 수 있는 날이 속히 찾아오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