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26년전 서울에서 보면 낙도(落島)나 다름없던 강원도 동해안에 영동고속도로와 함께 근대화의 새물결을 몰고 왔던 동해고속도로가 요즘 불만의 대상이 되고 있다.

동해고속도로 남단의 동해시의회가 통행료를 징수하는 옥계톨게이트의 폐쇄를 요구하더니 인근 삼척시에서도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연대 움직임이 일고 있다는 소식까지 들린다.

1975년, 흙먼지 날리는 비포장 도로가 태반이었던 그 고단했던 시절에 영동남부지역에 국내 굴지의 시멘트 산업을 일으키고, 관광산업에 눈뜨게 했던 그 고속도로를 향해 터져나오는 불만을 바라보면서 전국 반나절 생활권이라는 시대 변화상과 상대적 지역 낙후성을 절감케된다.

도로 당국에서 볼때는 그동안의 공(功)을 칭찬해주지는 못할망정 이제 그 효용이 떨어진다고 일 잘하던 조강지처를 내치듯 비판만 하냐는 역 불만을 제기할 수도 있겠지만 지역 주민들은 마치 조건부 계약을 한 배우자가 제역할을 않는데도 그냥 참고 살라는 것이냐는 반응이어서 불만이 고조된 분위기다.

동해시의회는 최근 건의문에서 “통행료를 받으면서도 가시적인 재투자를 하지않아 타지역의 4차선 국도보다 못한 이름뿐인 고속도로”라며 통행료 징수의 부당성을 성토한뒤 “앞으로 4차선 확장후 도로 서비스가 개선된뒤에 적절한 통행료를 징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돈 안내도 되는 동해안 국도가 대부분 4차선인데(물론 세금으로 충당이 되겠지만) 어떻게 2차선 도로가 승용차 기준 1천100원의 통행료를 받냐”는 반발인 것이다.

사실 강산이 두번 반이나 바뀌는 동안, 구절양장(九折羊腸) 고갯길이던 동해안 7번국도가 이제 거의 대부분 4차선으로 확장이 됐지만, 동해고속도로는 2차선을 고집했다.

“통행료 내기 싫으면 우회도로인 국도로 통행하면 될게 아니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그 2차선 고속도로가 있다는 점 때문에 속초∼삼척 사이 동해안 종단 7번 국도 가운데 강릉∼동해 구간만이 유일하게 아직 2차선 국도로 남아 있다는 또 다른 불만은 또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주민들은 변화에 무디었던 고속도로가 지난 9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지역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고 지·정체에 견디다못해 다반사로 행해지는 무리한 추월로 위험까지 가중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대해 도로공사는 동해시의회에 보낸 회신을 통해 “고속도로 건설에 필수불가결한 재원인 통행료 납부를 거부하는 것은 지·정체 해소를 위한 고속도로 건설과 확장에 오히려 차질을 빚게 하는 것”이라고 이해를 구했다.

또 “2004년 완공예정인 동해고속도로 확장에 모두 1조3천억원이 투입되는데, 이구간 1년 통행료 수입은 지난해 기준 62억원에 불과해 유지관리 및 영업비용도 충당키 어려운 현실을 이해해달라”고 덧붙였다.

적자를 감수하면서 지금 확장공사를 하고 있으니 4차선 동해고속도로가 완공될때까지 만이라도 불편을 참고 협조를 해 달라는 요지이다.

그러나 동해고속도로는 최근들어 확장공사가 본격화되다 보니 곳곳에 통행주의 표지판과 공사차량 출입구가 등장하고 대형차 통행까지 부쩍 늘어 동맥경화가 더욱 심화되는 상황이다.

주민들은 천문학적인 도로 건설 비용을 고려해 통행료 징수를 이해한다면, 거침없이 관광객이 몰리는 타지역의 무료 4차선 국도를 부러워 하면서 통행여건이 날로 악화되는 동해고속도로를 앞으로도 3년이나 더 돈내고 다닐 수밖에 없는 지역적인 집단 스트레스는 이해 대상이 아니냐고 반문하고 있다.

동해안 피서객 1천만 시대, 무료도로인 동해안 타지역의 7번 국도가 4차선으로 확장된후 상대적 지역 낙후 문제와 결부된 사안인 만큼 불만이 더 심화되기전에 정부차원에서라도 반대급부적 지원책을 강구해야하는 이유를 발견케된다.



江陵/崔東烈 dychoi@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