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동열

삼척주재 취재부국장
먼저 질문부터 던져보자. 오늘날 대한민국에서 가장 교통 오지는 어디일까? 의견이 다를 수도 있겠지만, 필자는 동해·삼척과 태백·정선을 비롯한 강원남부권과 울진·영덕·봉화·영양 등 경북 북부지역이라고 생각한다.

백두대간의 허리쯤에 모여 있는 이 지역은 아직 고속도로라는 교통문명의 수혜를 받지 못하고 있다. 길이라고는 동서남북을 가리지 않고 오로지 2차선 국도에 의존해야 하고, 국도조차 변변치 않아 아직도 구절양장 지방도 확충이 숙원 과제인 곳도 적지 않다.

그런 곳에 정말 낭보가 전해졌다. 기획재정부가 삼척∼포항(196㎞)에 4차선 동해안 신설 고속도로를 착공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한다(본지 2월 9일자 2면 보도)는 소식이다.

삼척∼포항에 고속도로가 뚫리면 동해안은 현재 공사중인 속초∼강릉 주문진 구간(51㎞)과 부산∼울산(47.2㎞)을 비롯 기본설계가 진행중인 고성 간성∼속초(15.7㎞) 등과 연계해 고성∼부산 동해안 전역이 고속도로라는 ‘신작로(新作路)’로 드디어 연결되게 된다.

그런데, 그 소식을 전하면서 조금 씁쓸하다. 삼척∼포항 고속도로 건설이 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지난 3일 기획재정부 심의를 통과하기까지 과정을 살펴보면 경상북도 쪽의 노력이 견인 동력 역할을 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타당성 조사 대상으로 확정되자 경북도는 “올해 타당성 조사를 거쳐 내년부터 포항∼삼척 고속도로가 착공된다”는 발표를 하면서 ‘역점사업’이라는 수식어까지 달았다.

이 사업을 관철시키기 위해 경상북도 내에서도 우여곡절이 적지 않았다. 사실 동해안 고속도로는 지난해 9월 정부의 30개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에 포함되기는 했으나 건설대상지는 포항∼영덕 구간으로 한정돼 있었다. 영덕까지만 동해안 고속도로를 닦은 뒤 건설예정인 영덕∼상주 내륙고속도로와 연결시키겠다는 것이었다.

이렇게되자 당장 삼척과 인접한 울진군 지역에서 거센 반발이 일어났다. “남들이 원치 않는 원자력발전소를 10기나 받아들인 지역민들 가슴에 또 대못질을 했다”며 “정책 책임자들은 석고대죄를 하라”는 표현이 지역언론에 등장했을 정도다. 울진지역의 반발이 거세지자 대구·경북권에서는 정치인들의 현안 대책회의에서도 포항∼삼척 고속도로 건설이 핵심 논의과제로 등장하고, 결국 치열한 촉구 노력을 벌인끝에 고속도로 건설 타당성 조사 대상에 울진지역을 포함시켜 삼척까지 연결하는 결실이 도출됐다. ‘목마른 자가 우물을 판다’고, 경북지역이 낙후된 북부권 교통망 확충에 얼마나 애가 닳아 있었는지, 실감케 하는 과정이다.

그런데, 목마른 쪽이 과연 경북 북부권뿐일까. 포항∼삼척 고속도로는 올해부터 연장공사에 들어가는 동해∼삼척 고속도로와 연결돼 동해안 고속도로 건설 숙원을 완성시키는 절실한 과제다. 고속도로를 따라 연결될 경상도 남부권에는 부산·대구·울산 광역시를 포함해 무려 1300만 주민이 살고 있다. 그들은 뻥 뚫린 고속도로를 타고 강원도로 몰려올 수 있는 ‘고객’들이고, 물류 유통교류를 촉진시킬 이웃들이다.

흔히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로마’가 한곳에 있는 곳만은 아니라는 생각도 해보자. 오늘날 대한민국의 ‘로마’인 수도권 교통망 연결에 전국이 목말라 있는 사이 동해안과 백두대간 남부권은 전국에서 가장 ‘먼곳’이 돼 버렸다. 동해안 고속도로가 완성돼 삼척∼포항 ‘신작로’가 완성되게 되면, 강원도 동해안도 사통팔달, ‘로마’가 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조기착공 결실에 이번에는 강원도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보자.

dychoi@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