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 우

전 동해시의회 의장
조선조 때부터 삼척군은 전국에서도 몇 번째 안가는 큰 고을로 이름이 나 있었다. 특히 구한말인 1890년 13도제 실시 이후부터는 일제의 팽창과 수탈에 따른 산업화 정책으로 인구가 20여만명이나 되었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는 일제의 제철산업 필요에 따라 대표적인 공업지구가 되기도 했다.

그 후 해방과 더불어 1970년대에는 정부의 고도성장 정책으로 도내에서는 삼척군의 황지와 도계지역이 석탄산업의 활성화로 국가의 여러 분야에서 에너지 공급의 원천이 되기도 했다.

북평지구도 동시에 공업지대로 발전돼 석회석산업의 모체가 되면서 동해항이 무역항으로 개항해 인구 28만여명의 찬란한 문화로 삼척군의 전성기가 되었던 때도 있었다. 당시 삼척군은 5개읍의 막강한 행정조직과 광활한 면적에 전국에서 유일하게 삼척읍과 장성읍에 2개의 경찰서를 운영하던 자치단체이기도 했다.

이후 정부 방침에 따라 인구 10만명이 초과되는 많은 군(郡)이 시(市)로 승격되면서 1980년 4월 1일 삼척군 북평읍이 당시 명주군 묵호읍과 통합돼 동해시가, 같은 해 7월 1일 황지읍과 장성읍이 합쳐져 태백시가 됐다.

행정의 효율성과 봉사 단위의 세분화가 위민행정으로 인식되면서 행정조직을 바꿔 나가는 작업은 이후에도 계속됐다. 삼척군의 삼척읍이 삼척시로 분리 승격되는 등 구(舊) 삼척군을 모태로 한 분만의 고통은 붉은 장갑을 낀 마술사가 기예를 선보이듯 계속됐다. 이렇게 1개 군이 4개 시군의 자치단체로 분열되면서 이웃간에 불필요한 경쟁을 해야 했고 비효율성과 행정낭비의 극치를 보는 것 같은 구태의 표본이 되기도 했던 과거를 간직하고 있는 지자체가 되고 말았다.

시·군 분할에 따른 부작용이 적지않게 파생되면서 정부는 다시 1990년대 들어 소위 도농(都農)통합을 통한 행정조직을 개편했다. 도내에서도 춘성군, 원성군, 명주군이 각각 춘천과 원주, 강릉시와 통합되고, 삼척시 또한 삼척군과의 재통합을 이루었다. 재통합은 도농간에 역사성 동질성 및 생활권을 기준으로 행정구역을 개편, 도시와 농촌간에 생활의 격차를 줄여보자는 개념으로 재구성 되었던 것이다.

이같이 많은 우여곡절을 겪은 행정구역 개편이 최근 또 ‘화두’가 되고 있다. 정부는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경제에도 새로운 동력을 불어넣자는 차원에서 행정구역 통합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면서 행정체제 개편을 추진중이다. 경기도와 경상·전라·충청권 등 통합 논의에 참여하는 지역이 늘고 있다. 이는 도시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이므로 도시의 능력을 극대화 해 신 개념으로 급변하는 미래에 대처하자는 분위기와도 맞물려 있다.

이에 따른 기준에 굳이 대입한다면 구 삼척군 지역은 역사적으로 동일 행정 구역이었던 삼척시, 동해시, 태백시가 1차로 통합해 행정의 효율성을 기해야 할 것이다. 조선시대에 이미 행정의 효율성과 경쟁력 확보에 그 토대를 튼튼히 하였던 것이 삼척지역이 아니었던가? 통합이 성사된다면 도시간 경쟁력 증진에 선도 주자가 돼 통합시에 새로운 르네상스를 열어 진정한 지방화를 열어야 할 것이다. 지금 정부가 1차적으로 전국의 몇 개 시군을 통합추진대상으로 선정해 놓고 다시 통합여부를 지방의회와 주민투표로 결정해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통합자치단체장을 선출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지금 지방정가에서는 행정구역개편계획이 수면위 논의의 대상으로 곳곳에서 부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과연 구 삼척군의 르네상스는 이루어질 수 있을까?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