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병로

정치부장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가 야권은 물론 여당에서조차 신뢰를 얻지 못하며 스스로 사퇴하는 등 반환점을 돈 이명박 정부가 집권 후반기 첫 걸음부터 난관에 부딪쳤다. 김 씨가 총리 후보자로 지명될 당시만 해도 MB호는 순항하는 듯했다. 40대 총리의 탄생을 통해 세대간 소통의 폭도 넓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표출됐다. 그러나 김 총리 후보자는 잦은 말 바꾸기와 석연치 않은 해명 등으로 결국 국민의 신뢰를 얻는 데 실패했다. 위장전입과 투기 의혹에 휩싸였던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장관과 이재훈 지식경제부장관 내정자도 김 후보자에 이어 곧바로 사퇴를 표명했다.

8·8 개각 이후 3명이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낙마한 것이다. 김 총리 후보자 등 3명의 사퇴는 여러 가지를 시사한다. 첫째는 국민여론의 엄중함이다. 김 후보자에 대해 국민들은 뚜렷한 비위사실이 밝혀지지 않았는데도 60%(여당 여론조사)가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 ‘공정한 사회’를 주창했던 청와대와 여당도 국민여론에 정면으로 맞서기가 부담스러운 처지였다. 결국 그들은 사퇴를 표명했고, 임명권자인 대통령도 이를 수용했다.

두 번째는 정부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눈이 한층 냉엄해졌다는 사실이다. 국민들은 올해 치러진 두 번의 선거에서 이를 실증적으로 보여줬다. 정치권도 민심을 거스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을 뼈저리게 느낀 듯하다.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된 ‘협상 카드’가 공론화 과정도 없이 사그라진 것이 이를 반증한다. 그러나 아직 모든 상황이 종료되지 않았다. 김 총리 후보자 등 3명이 사퇴했음에도 불구하고, 야권은 일부 후보자들에 대해 여전히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특정 내정자에 대해서는 끝까지 낙마를 밀어붙이겠다는 각오다. 정권의 고민이 깊어지는 대목이다.

강원도의 상황도 딱하기는 마찬가지다. 8·8 개각 과정에서 강원도는 철저히 소외됐다. 도민들은 총리를 포함한 각료들에 대한 청문회 과정을 지켜보며 씁쓸한 기분을 감추지 못했다. 도민들의 기대와 목소리가 전혀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민들의 박탈감은 정부에 대한 성토로 이어졌고, ‘잔치’에 초대받지 못한 서운함이 더해졌다. 청문회 과정에서도 도 현안은 부각되지 않았다. 도 현안을 관심 있게 말할 인물이 없었기 때문이다.

강원도는 당장 내년 2월 IOC로부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실사를 받아야 한다. 공교롭게도 동계올림픽 유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무 장관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낙마했다.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정 문제를 관장할 지식경제부장관도 청문회 소용돌이를 벗어나지 못했다.

대통령은 이제 새로운 인물을 국민 앞에 선보여야 한다. 도민들 또한 관심 있게 이번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이명박 정권에서 계속되고 있는 무장관 무수석에 대한 아쉬움이 이번 사태를 통해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그러나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새로운 인물을 찾기란 생각처럼 쉽지 않을 것이다. 도민들의 기대에 걸맞는 인물을 선택하기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그러나 무장관 무수석에 이어 도지사 권한대행체제가 계속되고 있는 강원도의 특수성은 인정돼야 한다. 이에 대한 대통령의 판단도 후속 인선에 반영돼야 한다.이는 강원도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 문제로 다뤄져야 한다. brkang@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