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의 내일을 말한다] 동북아 지중해 ‘강원도’

동해와 관련된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동해 연안을 ‘환동해권’이라 부르던 시기를 지나 이젠 ‘동북아 지중해(Northeast Asia Mediterranean)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유럽 지중해는 에게문명, 크레타문명, 트로이문명 그리고 오리엔트문명을 일으킨 바다다. 지중해는 문명과 번영의 시작이었다. 새로운 번영의 공간인 동북아 지중해 시대를 강원도가 중심이 돼 열고 있다. 동북아 지중해 시대에 선봉적 역할을 하기 위해선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환동해 개발 계획 구축 등이 필요하고 주변국과의 교통·물류체계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

동북아 지중해 시대의 의미와 역사, 가치, 과제 등을 통해 강원도가 나아갈 방향을 살펴본다.


4개국 지방정부 연합사무소 도내 설치 주도권 확보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정· TKR·TSR 연결 필수

■ 동북아 지중해 시대의 의미

 

 

지중해는 대서양에 속한 바다로 바다 대부분이 유럽과 아프리카, 아시아 대륙으로 둘러싸여 있다.

고대시대부터 지중해는 중요한 교역로로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로마 등 여러 민족들이 물자와 다양한 문화를 주고 받으며 세계사의 중심이 됐다.

최근들어 한·중·일·러 동북아 4개국의 교류협력이 본격화되면서 수천년 동안 세계사의 중심에 선 문명의 발상지인 지중해와 같이 이들 국가가 모두 내해(內海)로 공유하고 있는 ‘동해’에 대한 공통 분모의 필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환황해권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환동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동북아 지방정부 간 교류 과정에서 한계점이 노출됐다.

도는 지난 1994년 처음으로 환동해 지사·성장회의를 개최했지만 이후 일본 등 지방정부의 반대로 이름을 동북아 지방정부 지사·성장회의로 바꿔 개최하면서 동해의 개념이 배제된 정체성이 약한 교류행사로 성격이 전환됐다. 특히 각 국의 역사적 이해관계에 따른 상충은 각 지방정부 간 실질적 교류협력 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이에 따라 각 지방정부가 국제교류사업 선정에 있어 지역 간 공동체 형성이라는 공통분모의 의제 설정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런 차원에서 각 지방정부 간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동북아 지중해’라는 공통 분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역사·정치·군사·경제·문화적으로 연결된 한·중·일·러의 공동 번영을 위해선 ‘동북아 지중해’라는 새로운 글로벌 비전이 필요하고, 이를 강원도가 주도해야 한다.

■ 동해의 역사와 전략적 가치

1500여년 전 신라장군 이사부는 개척정신과 대양도전을 통해 울릉도와 독도를 우리 영토로 편입시켰다. 지난 7∼10세기 발해는 동북아 일대를 호령하며 동해를 무대로 일본국과 활발한 국제교역 활동을 펼쳤다. 이처럼 우리 선조들은 일찍이 동해를 개척하고, 경영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활발한 교류협력의 장이었던 동해가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냉전시대가 열리면서 얼어붙은 바다가 됐다. 이후 20세기 말 소련의 붕괴와 함께 탈 냉전시대가 도래하면서 자연스럽게 동해를 끼고 있는 동북아 지방정부 간 교류협력도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세계는 지금 EU, NAFTA, 동북아 경제권 등 인근 국가 간 지역경제권을 형성, 자국의 이익 극대화를 위해 국가 간 교역 및 관광, 철도 건설 등의 교류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도는 1994년 중국, 일본, 러시아 지방정부에 지사·성장회의 개최를 제의해 현재까지 모두 16차례의 회의를 각 지방정부를 순회하며 개최해 왔다.

한·중·일이 중심이 된 동북아 경제권은 전세계 인구의 22.5%를 차지하고 있는 거대시장으로 세계 3대 경제권의 하나이며, 2030년에는 29.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동북아경제권 가운데 강원도가 포함되는 환동해경제권은 한국의 동해안 지역과 중국의 동북3성, 러시아 연해주, 일본 서해안 지역이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환동해경제권은 인구 규모 1억5000만명, GRDP 1조달러의 거대 시장이며, 2030년에는 경제규모가 EU의 51% 수준인 12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 과제와 전망

환동해경제권은 국경과 정치·경제 체제의 이질성으로 교류협력에 한계가 있다. 강원도 주도의 지사·성장회의도 경제, 통상 등 실질적 교류가 아닌 일회성 방문에 그치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각 지방정부 간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동북아 지중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중국, 러시아, 일본이 동해를 중심으로 공동 번영하기 위해 ‘동북아 지중해 연합체’를 구성하고, 이를 강원도가 주도해 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동북아 지중해 연합체 구성을 통해 관광, 물류, 산업, 에너지, 자원, 농수산 등의 다양한 분야 교류협력을 확대할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또 항공·항로 연결망 지원 및 정보화 사업 확대를 통한 각 지방정부 간 네트워크 구축 기반을 마련하고, ‘동북아지중해연합체 사무소’를 강원도에 설치해 주관기관으로서의 거점도 확보해야 한다.

이와 함께 동북아 지중해 경제권의 교역 확대에 대응하는 최적의 물류 수출입 거점 구축을 위해 동해안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무엇보다 필요하고, 러시아의 자원과 자본의 유입을 위해 한반도 종단열차(TKR)와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의 연결이 동해안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한표환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은 “동북아 지중해 시대 실현의 주도적 키를 잡을 수 있는 곳이 강원도 동해안이고, 각 지자체 간 ‘지방정부 연합체’ 구성에 강원도가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전략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혁 ftas@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