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자니 무겁고 놓자니 깨지겠고 무겁고 깨질 것 같은 그 독을 들고 아둥바둥 세상을 살았으니 산 죄 크다 내 독 깨뜨리지 않으려고 세상에 물 엎질러 착한 사람들 발등 적신 죄 더 크다’ 김용택 시인의 ‘죄’전문이다. 내려놓고 살걸 하는 생각이 늘 다짐에 머무르는 것도 죄고 나 살자고 다른 사람 해롭게 하는 것도 죄니 이래저래 삶은 매일 죄짓는 것의 연속임을 표현하는 시구들이 우리네 일년 삶의 회한을 대변하기에는 그만이다.한 해의 끝자락에 서면 개개인이 갖는 회환은 다 일직선 상에서 하나로 귀결된다. 참회하고 용서하고 그리고 감사하는 긍정으로 말이다.

해마다 이맘때쯤 되면 교수신문이 올해의 사자성어를 발표한다. 한해의 정치 경제 사회를 전문가의 시선으로 규정짓는 것이니 세태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면에서 주목해 볼 만하다. 2009년에는 ‘일을 정당하게 하지 않고 그릇된 수단을 써서 억지로 한다’는 ‘방기곡경(旁岐曲逕)’이, 2010년은 ‘진실을 숨겨두려고 하지만 거짓의 실마리는 이미 드러나 있다’는 뜻의 ‘장두노미(藏頭露尾)’가 올해의 사자성어였다. 2011년 선정된 ‘엄이도종(掩耳盜鐘)’은 ‘자기 잘못 생각 않고 남의 비판에 귀를 막는다’는 의미로 통용된다. 3년 내내 거의 비슷한 의미를 담고 있는 올해의 고사성어를 하나로 연결해 보면, ‘중요한 일을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방법으로 강행하는 거짓된 세태를 알 사람은 다 아는데 이제는 잘못을 반성하기는커녕 인정하지도 않는 시점에 이르렀다’는 일련의 흐름이 나온다. 그리고 결국 ‘국민과의 소통 포기’ 즉 ‘불통’이라는 지점에 안착한 것으로 결론내려진다.

불통은 모든 구성원을 아프게 한다. ‘아픈 것은 통하지 않기 때문이요 아프지 않은 것은 통하기 때문이다(通卽不痛 不通卽痛)’라는 동의보감 말도 있다. 한해의 회한으로 개인들은 열심히 자성하는데 삶의 질이 달라지려면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무엇보다 사회가 그리고 정치가 업그레이드 되어야 한다. 즉 지도자의 진심어린 회한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소리이다. 그나저나 기쁨 충만한 사자성어가 올해의 한자로 뽑힐 날이 우리에게 오긴 올는지…

조미현 출판기획부국장 mihyun@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