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남권

시인·들꽃세상 지킴이

2018년 평창에서 제23회 동계올림픽이 열린다. 지난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피겨 종목 사상 한국 최초의 금메달을 획득한 김연아를 비롯한 많은 선수들이 선전한 한국은 종합 5위의 성적으로 위상을 널리 떨쳤고 남아공에서 열린 개최지 결정에도 크게 기여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와 관련하여 유치위원회 측에서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말을 빌려 관광산업의 파급효과가 20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관광분야의 직접적인 경제효과로 외국인 관람객의 총 소비 지출액으로 2920억원, 이로 인한 생산유발효과가 6684억원, 그리고 부가가치 유발효과로 2799억원을 꼽았다. 또한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따른 총 생산유발 효과는 20조 4973억원으로 부가가치 유발액 8조 7546억원, 총 고용 증대효과는 23만여명이고, 약 80여개국의 선수와 임원, 보도진 등 2600여명, 외국인 관람객 약 19만 5000여명이 평균 8일간 체류하며 하루에 약 25만 1350원의 비용을 지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은 역대 동계올림픽을 치르는 동안 흑자 올림픽으로 성공한 대회가 미국의 레이크플래시드 등 다섯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라는 점이다. 1998년 일본의 나가노 동계올림픽은 올림픽조직위원회의 2800만 달러(312억원) 흑자라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실제 수입은 100억 달러 적자로 10년이 지난 지금도 심각한 재정 위기로 허덕이고 있다. 2010년 개최지였던 캐나다 밴쿠버는 공식적으로 10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 1976년 몬트리올의 경우 적자 폭이 예상의 20배나 웃돌아 무려 30년 동안 주민들이 올림픽특별세를 내면서 고통을 받기도 했고, 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러나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흑자올림픽의 기대와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은 것은 이미 실패한 나라의 사례를 꼼꼼히 살피고 올림픽 이후의 사후조치와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준비할수 있기 때문이다.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개최를 위해 네가지를 제안 하고자 한다.

첫째, 문화예술이 접목된 가장 한국적인 올림픽이 되어야 한다. 조직위에도 반드시 문화예술인들이 참여하여야 하며 경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장에서 프레스센터에서 숙소에서 식당에서 선수와 임원, 관람객의 눈길이 머무는 곳마다 가장 한국적인 문화와 전통과 예술을 체험하고 느끼고 맛보고 갈 수 있도록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둘째, 겨울 휴양도시로의 완벽한 변신을 꾀해야 한다. 평창~강릉을 잇는 동계올림픽 라인에 동계스포츠, 휴양과 관광 별천지를 만들어야 한다. 기존의 동남아 관광객이 겨울철에 와서 잠시 머물렀다 가는 것에 만족했다간 올림픽이 끝나고 대관령은 유령도시를 면치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일자리 창출과 유지, 보전에 따른 단계별 계획은 물론 이를 관리하고 점검하는 업무를 전담할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올림픽 준비와 관련된 인력과 대회 당시의 인력, 그리고 대회를 마치고 난 후 관광휴양도시의 관리 유지 보수 및 서비스와 가이드 등에 전문 인력으로 대체될 수 있는 다양한 대안이 제시돼야 한다.

넷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친환경 전략이 필요하다. 강원도 특유의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동해바다와 어우러지는 눈과 바다, 푸른 산의 이미지를 살리고 맑고 깨끗한 계곡과 전통문화의 메카가 강원도라는 자부심을 심어주고 이를 홍보하기 위한 세심한 배려와 치밀한 마케팅이 필요하다.

한 세기에 한두 번 올까 말까한 기회를 국가이미지 상승과 경제회복, 국민의 자긍심 고취를 통한 국격 향상의 기회로 삼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절실하며, 문화예술이 접목돼 올림픽 이후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주민의 생존방안이 담긴 마스터 플랜만이 흑자 동계올림픽을 향한 야심찬 첫 걸음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