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冊)이란 한자는 죽간(竹簡)을 끈으로 묶은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다.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 시대에 대나무를 쪼개 다듬어서 썼기에 그런 상형문자가 나왔다. 공자가 죽간을 묶은 가죽끈이 세번씩이나 끊어질 정도로 역경(易經)을 되풀이해 읽어 위편삼절(韋編三絶)이라는 고사도 나왔다. 대나무는 표면이 매끄러워서 특별히 다듬어야만 먹물을 빨아들인다. 그 다듬는 과정을 살청(殺靑)이라 했는데 살청한 후에도 대의 푸른빛이 남아 오래될수록 은은한 청색을 띤다. 그 청색 죽간에 기록된 역사가 바로 청사(靑史)다.

중국 후한시대의 환관 채윤(蔡倫)이 종이를 발명한게 서기 105년인데 이 종이가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가 오늘날 고도의 종이문화를 이룩하는 바탕이 되었다. 우리의 한지는 채윤이 만든 채후지를 오랜 세월에 걸쳐 개량한 것으로 닥나무가 원료이다. 종이의 원산지는 중국이지만 중국 사람들은 중국 종이보다 조선종이를 더 귀하게 여겼다. 연암 박지원이 중국을 여행하면서 여려운 일이 생길 때마다 청심환과 조선종이로 고비를 넘기는 장면이 열하일기에 여러번 나온다.

한지에 비해 양지(洋紙)는 지면이 매끄럽고 형태가 다양해 당장 쓰기엔 좋지만 내구성이 약해 백년을 넘기기 어렵다. 도서관에서 오래된 책을 펼쳐보면 마치 마른 나뭇잎을 만지는 느낌이 들고 조금만 잘못 다루면 책장 귀퉁이가 부서진다. 그러나 한지는 먹물을 머금고 천년 세월을 견디며 질김과 부드러움을 유지한다. 고려조 조선조의 기록물이나 문집들이 지금도 훼손되지않고 보존된 것도 한지의 내구성 때문이다.

원주지방국토관리청이 원주에서 생산되는 전통 한지로 표창장 임명장을 만들어 쓰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옛날의 임명장인 교지(敎旨)를 되살려 전통문화도 계승하고 지역 특화산업도 활성화시키는 훌륭한 발상이어서 박수를 보낸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