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1400년경 이집트에서 처음 만들어지고 고대 그리스에선 클렙시드라(clepsydra)라 했던 물시계를 우리는 각루(刻漏) 경루(更漏) 누각(漏刻)이라 부르며 삼국시대부터 사용해 왔다. '삼국사기'에 신라 성덕왕 17년(718년)에 처음으로 물시계를 만들어 누각전(漏刻典)에 설치하고 박사 6 명, 사(史) 1 명을 두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그러나 671년에 백제의 천문학자들이 일본에 건너가 물시계 제작을 지도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이미 그 이전에 만들어져 사용된 것이 분명하다.

'세종실록'에는 '스스로 친다'는 자명종 물시계 '자격루(自擊漏)'를 장영실(蔣英實) 등이 2 년여의 노력 끝에 세종 16년(1434년) 6월에 완성해 경복궁 남쪽 보루각(報漏閣)에 설치했다고 전한다. 자격루는 그 해 7월부터 공식적으로 조선왕조 표준시계의 하나로 사용했으나 제작된 지 21 년만인 단종 3년(1455년)에 자동 시보장치가 사용 중지되기도 했다. 장영실이 죽어 고장난 자동장치를 고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필원잡기'에는 이런 문장도 보인다. "세종은 자격루 간의대 흠경각 앙부일구 등을 만들었다. 그 제작이 극히 정교하고 치밀한데, 그것이 모두 임금의 재량에서 나왔으니 여러 기술자들 중 임금의 뜻을 헤아리는 사람이 없었으나 오직 호군(護軍) 장영실이 임금의 지혜를 받아들여 교묘한 방법을 운용하여 들어맞게 하지 않는 것이 없었으므로 임금이 그를 매우 중히 여겼다."

600여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서거정(徐居正)이 '필원잡기'에서 말한 "세종의 제작을 왕성하게 하기 위해 때 맞추어 태어난 인재" 장영실이 만들었던 그 자격루와 거의 비슷한 기능을 갖춘 물시계를 만날 수 있다. '춘천물심포니' 행사가 펼쳐질 호반 춘천의 조각공원에 가면 된다. 그 곳 자격루 앞에 서서 물 흐르듯 흐르는 세월 속에 '스스로를 쳐 보는 시간'을 한번 가져 볼 만하지 않나.

李光埴 논설위원 misan@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