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횡단철도(TSR)과 한반도종단철도(TKR) 연결사업은 한마디로 대역사다. 지난 4일 북한과 러시아가 이 사업이 ‘실현단계에 들어섰다'고 밝혔다. 북·러 간의 이런 선언이 있을 것이라는 것은 이미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열차 바퀴를 바꿔 껴 시베리아를 횡단할 때부터 예측돼 왔다. 그렇다면 총 연장 5천214㎞ 가운데 70%가 일제 때 건설된 것이고, 전철노선 79%가 기능불능이라는 북한 철도 재건비용은 어떻게 충당할 것인지가 당장 정치권 논란 도마에 올랐다. 야권 일각이 ‘러시아가 우리에게 진 빚 18억원을 북한에 지원하려는 현물투자로 상계 하려 한다'고 주장하자, 정부관계자는 ‘터무니없는 일'로 일축했다.

경제권 논란은 TSR-TKR 연결로 한·일∼유럽간 신 실크로드가 열렸을 경우 북한과 러시아가 얻는 수입이다. 교통개발원의 한 연구팀은 운임수입만 연간 북한 5천100만 달러, 러시아는 4억 달러씩 된다고 계산해 냈다. 그러나 이것도 선로가 개선되고 북한 사회가 자본주의 경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체질개선이 됐을 때라는 얘기다.

‘TKR 남북노선이 어디인지'는 강원도에서 일어날 만한 논란이다. 전문가들은 현실적으로 두 개 노선을 점치고 있다. 일단 서울에서 경의선으로 황해도 평산, 청년이천년선으로 원산, 이어 러시아 하산이 유력하고, 다른 하나는 '서울∼평양∼원산∼하산'이라는 것이다. 서울∼원산 간 경원선은 물망에도 못 오른 것이다.

정말 궁금해 논란이 될만한 것이 있다. 두 철도연결사업은 지난 2월 한·러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먼저 다뤄졌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한국과 자국의 이해가 얽힌 이 사업의 카운터파트가 지금 어디라고 생각하느냐는 것이다.


咸光福 논설위원
hamlit@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