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전쟁의 흔적이 가시지 않은 1950년대 중반 서울의 명동.

새로 생긴 '은성'이란 술집에 빈대떡과 술을 놓고 시인 박인환과 극작가 이진섭 등이 둘러앉아 예술과 인생을 씹고 있었다.

술이 몇순배 돌아 취기가 오르자 누군가 혀 꼬부라진 소리로 박인환이 얼마전 썼다는 詩 '세월이 가면'에다 즉석에서 곡을 붙여 흥얼거리기 시작했다.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을 내 가슴에 있어…'

젊은이들의 영원한 '사랑의 엘레지'가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이후 박인환은 세상을 떠났지만 자신들의 젊음과 사랑에 취한 젊은이들의 입에선 그의 詩가 노래가 됐다. 비록 박인환의 이름은 잊었을지 모르지만 사랑과 젊음의 열정을 심어준 박인환의 문학세계는 언제까지나 우리의 가슴속에 남아있는 것처럼.

박인환은 1926년 인제군 상동리에서 태어났다.

상동리는 소양강의 원류가 되는 마을. 별로 궁색하지 않은 살림에 어려서부터 활달하고 재기넘쳤던 그에게 아름다운 소양강가의 전원은 시적 감수성과 심미안을 길러주었다.

여덟살때 인제보통학교에 입학하자 먼 거리를 걸어다니는 것이 안쓰러웠던 그의 어머니는 불편한 다리에도 불구하고 종종 그를 데리러 학교에 가곤 했는데 소년 박인환에게 어머니의 모습은 진한 슬픔으로 다가왔다.

그는 이때의 기억을 훗날 '전원'이란 詩에서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절름발이 내 어머니는/삭풍에 쓰러진/고목옆에서 나를/불렀다/얼마지나/부서진 추억을 안고/염소처럼 나는/울었다'

11세 때인 1936년 그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공부를 위해 서울로 전학, 39년 경기공립중학(현 경기고)에 입학한다. 그러나 2년을 채우지 못하고 자퇴하는데 이유는 '영화에 대한 탐닉'때문.

당시 그는 프랑스의 천재 예술가 '장 꼭도'에 심취, '영화평론가협회'를 만들어 활동했는데 그의 서구 현대시에 대한 기호는 이때부터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후 여러 우여곡절을 거치며 평양의학전문학교에 입학했지만 이 마저도 해방과 함께 자퇴, 자신을 옭아매던 주위의 기대와 지긋지긋한 학창시절에 마침표를 찍고 서울 종로에 서점 '마리서사'를 연다.

'마리서사'의 이름은 프랑스의 시인 '마리 로랑생'에서 따온 것.

돈을 위해 개업한 서점이 아닌 탓에 영업은 늘 부진했지만 이곳서 새로운 시를 열망하던 김수영, 김경린 등 모더니즘 계열의 시인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동인지 '新詩論' 제1집을 발간하는등 왕성한 시작활동을 벌인다.

6·25때 종군기자로 활동하며 '신호탄' '문제되는 것'등 시작 활동을 계속하던 그는 전쟁으로 폐허가 된 고향에 대한 애상과 '남은 자'와 '남지 못한 자'의 허무를 노래한다.

/갈대만이 한없이 무성한 토지가/지금은 내고향/…/운동장을 뛰어다니며/미래와 살던 내 동무들은 지금은 없고/…(작품 ''하략)

전쟁이 끝난 후 서울로 돌아와 '새로운 명동을 만들자'며 누구보다 분주하던 그는 55년 '朴寅煥 選詩集'을 출간하고 56년 '세월이 가면' '죽은 아포롱'등을 발표한 뒤 3월 20일 세상을 떠난다.

박인환을 생각할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깃을 올려 세운 러시아식 오버코트.

그에 관한 유명한 소문은 명동의 멋장이였으며 술과 로맨티시즘에 젖은 보헤미안이라는 것.

실제로 외모에 대한 지나치리만큼 깊은 관심은 다음의 말에서 잘 알 수 있다.

"어서 겨울이 왔으면 좋겠다. 여름은 이게 뭐야 통속이고 거지지. 겨울이 빨리 와야 두툼한 홈스펀의 양복도 입고 버버리도 걸치고 머플러도 날리고 모자도 쓸게 아냐"

한푼의 돈은 없어도 늘 양주와 진한 커피를 마시고 싶어하던 그는 좌중을 압도하는 풍모와 청산유수의 말솜씨와 어울려 '명동의 댄디'로 각인시켰음을 쉽게 추측케 한다.

하지만 그를 진정한 '명동의 댄디'로 만든것은 외양적 면보다 그의 정신에 자리한 멋이다.

그는 죽기 3일전 열린 '李想 추모의 밤'에서 겉으로 보기에 지극히 정상적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친구 이진섭에게 "인간은 소모품. 그러나 끝까지 정신의 섭렵을 해야지'라는 글을 전했다고 한다.

다른 사람과 어떤 형태로든 구별되고 싶다는 그의 선별의식은 첫시집의 제목이 '選詩集'이었던데서도 알 수 있다.

죽은 사람의 시집에나 쓰는 말을 자신의 첫 시집에 붙였던 그의 정신적 멋스러움에서 우리는 1950년대라는 황량한 거리에서 '사랑'이라는 시가를 멋지게 피워 물던 '시인 박인환'을 떠올리게 되는 것이다.

그의 선별의식과 관련된 또다른 일화.

어릴때부터 요절한 일본의 천재작가 '아쿠다가와'에 몰입했던 그는 '천재는 일찍 죽을 수 밖에 없으며 나도 요절할 것'이라는 말을 친구들에게 입버릇처럼 했다고 한다.

천재의식의 발로는 그가 '李想'을 가장 좋아하게 한 이유다.

'무한한 수면/반역과 영광/임종의 눈물을 흘리며 결코/당신은 하나의 증명을 갖고 있었다/李想이라고/(작품'죽은 아포롱'中)

그의 죽음도 李想과 닿아있다. 李想의 기일이 다가오자 그는 몹시 흥분했다고 한다.

친구들을 불러모아 '李想 추모의 밤'을 계획하고 그의 운명시간인 3월 17일 3시 25분을 기해 술잔을 들자고 했을 정도.(그러나 李想은 4월 17일 새벽에 사망했다)

이날 시작된 술은 죽는날까지 계속된다. 세상을 떠난 20일에도 아침밥을 거른채 하루종일 폭음을 하고 집으로 돌아와 '생명수(약이름)를 달라'는 말을 마지막으로 눈을 감았다.

소식을 듣고 달려온 친구들에 의해 눈이 감겨지고 생전에 그렇게 좋아했지만 마음껏 먹지 못했던 '조니워커'가 식어가는 그의 입에 부어졌다.

비록 한권의 시집과 서른 해의 짧은 생애였지만 젊은이들에게 사랑과 열정을 일깨워 주었다. 세대가 지나도 사랑과 젊음이 이어지는 한 그의 노래는 영원히 이어질 것이다.

박인환, 그는 외모뿐 아니라 정신에도 멋지고 두툼한 깃을 올려세운 사람이었다.

사랑과 정열, 감격의 이름으로 이 시대 마지막 보헤미안의 모습으로 가을속으로 떠난 그의 모습을 술병이 바람에 쓰러지는 소리를 들으며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趙眞鎬 odyssey@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