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아산과 북한이 금강산 육로관광을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금강∼설악 연계관광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육로관광에 기대감을 표시하고 있는 도내 관광업계는 지역경제의 파급효과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해상관광의 전철을 밟지 않고 금강∼설악권 연계관광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이번 육로관광이 동해항서 출발하는 금강산 해상관광처럼 도내 지역이‘경유지’로 전락하면 지역소득과 연계하기 힘들 것”이라며 “금강산 관광객들이 체류하면서 관광을 할 수 있게 시간과 코스 조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98년 11월 금강산관광선이 동해항에서 첫 출항을 하기 전까지만 해도 지역에서는 금강산관광이 지역주민들의 소득 및 고용창출, 세수 증대 등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했지만 체류관광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동해시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98년 11월 8일 금강산관광선 첫 운항이 시작된 이후 지난해말까지 숙박·음식·납품 등 직접적으로 지역경제에 미친 효과는 157억여원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게다가 올해 들어서는 동해항을 통한 금강산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지난해 1,2월 두달동안 현대아산측에 3억여원어치의 선식·선용품을 납품했던 동해지역 관련 업계들은 올들어 58.4% 감소한 1억2천5백여만원 어치를 공급하는데 그쳤다.

呂京春 도관광협회장은 “현대와 북한이 금강산 육로관광을 합의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금강산 육로관광이 속초·고성 등 영동지역의 경기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陳鍾仁 whddls25@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