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선주

국립춘천박물관장·문학박사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비롯해 카라, 소녀시대, 동방신기 등 아이돌 그룹을 중심으로 한 K-Pop과 겨울연가, 대장금과 같은 드라마 등의 문화콘텐츠에 기반한 한류가 지구촌 곳곳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이와 같은 한류의 급속한 확산을 보며, 한국의 문화 콘텐츠를 알리는 문화 사절단의 필요성을 논하는 이들이 많은데, 이미 조선시대에 문화 사절단의 역할을 행한 이들이 있었으니, 바로 조선시대에 일본에 간 우리의 통신사이다.

통신사는 조선이 일본에 보낸 외교사절단으로, 조선에서 온 신의를 통하는 사절이라는 뜻이다. 이처럼 서로 믿음을 바탕으로 우호를 다지는 사절이었던 통신사는 정사, 부사, 종사관을 중심으로 300명에서 500명에 이르는 대규모의 공무국외여행단이었다. 조선후기에 통신사가 일본을 방문한 횟수는 1607년부터 1811년까지 모두 열 두차례에 이르며, 방문할 때마다 일본인들의 뜨거운 환영을 받으며 세토나이 항로와 육로인 도카이도를 거쳐 당시 일본의 중심부인 에도에까지 다녀왔다.

한양에서 출발하여 부산을 거쳐 일본 에도에 도착하는 두 달여의 일정에서 조선통신사 사절단은 쇄국체제 아래서 외국에 갈 수 없었던 일본의 수많은 지식인들의 문화에 대한 갈증을 풀어주는 역할을 하였다. 통신사 일행이 지나는 곳마다 그 지역의 지식인들은 함께 유교에 관한 필담을 나누고, 한시를 읊기를 청하였으며, 때로는 그림이나 글을 요청하고 학문상의 의문점을 묻기도 하였다.

1682년 통신사의 역관이었던 김지남이 쓴 ‘동사일록’에는 그러한 상황이 잘 드러나 있다. 김지남은 “관사에 도착하자 접대 책임자와 그 지방의 집정으로부터 심지어는 말을 돌보며 심부름하는 일본인, 유학자와 승려에 이르기까지 종이와 벼루, 먹을 가지고 와서 날마다 글과 글씨를 요구했다. 글씨를 부탁하는 자를 내쫓았지만 그들은 물러나지 않았다. 글씨를 배운 적이 없지만 어쩔 수 없이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붓을 휘둘러 써줄 수밖에 없는 고역을 치렀다.”라고 적고 있는 것으로 보아, 통신사에 대한 일본인의 기대치가 어떠했는지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일본에서는 조선 통신사에 대한 기대가 매우 높았고, 때문에 그 접대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조선 통신사행단을 맞이하기 위해 조선어를 익히거나, 통신사가 지나갈 길을 미리 유념하여 정하고 통신사 접견 관리는 특별히 문장에 능한 이를 뽑는 등, 의전과 접대에 정성을 다하였는데, 에도 막부의 1년 예산에 해당하는 막대한 비용을 통신사의 체류에 사용할 정도였다. 이와 같이 조선 통신사 행렬은 일본에서는 큰 행사이자 볼거리였고, 조선으로서는 문화적 힘을 과시하는 수단이기도 했다.

춘천은 한류를 이끈 드라마, 겨울연가의 배경이 된 도시로, 한류문화 전도에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여전히 많은 일본인 관광객들이 겨울연가의 촬영지인 남이섬과 춘천을 찾고 있다. 이처럼 21세기의 한류를 선도한 춘천에서, 조선시대 한류를 대표하는 통신사 관련 전시가 열리는 것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 하겠다.

이번 전시에서는 정사였던 조태억의 말을 탄 선비 그림, 괴원이 꽃과 새를 그린 화조도를 비롯해, 아버지의 묘비글을 부탁한 일본 관리의 편지, 일본의 고위층 관리가 통신사와 주고받은 시 등, 통신사들이 일본 지식인들과 교류하면서 남긴 글과 그림들을 통해 조선의 문화가 일본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를 엿볼 수 있는 전시품이 전시되어 주목을 끌고 있다. 특히 이번 전시품은 재일 조선통신사 연구가인 이원식 선생이 수집하고 한림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귀중한 소장품으로, 세간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작품들이다. 국립춘천박물관과 한림대학교와 공동으로 기획한 이 통신사 전시가 지역사회가 갖고 있는 문화콘텐츠를 널리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2월 24일까지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전시)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