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화묵

강릉시의회 의장

강릉대학교는 1946년 강릉사범학교로 시작해 지난 1991년 영동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이공대학 등을 신설, 종합대학교로 승격했다.

하지만, 정부의 대학 구조개혁 방안을 앞세워 2007년 원주대와 통합했고, 주민 반대에도 불구하고 명칭 또한 강릉원주대로 바꿨다.

이러한 일련의 통합과정과 교명변경의 상흔이 채 아물기도 전인 지난 2월에는 강릉원주대학의 공과계열 핵심 학과를 원주로 이전하겠다는 대학측의 학사구조조정 강행 의지가 지역사회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 왔다.

이로인해 시의회와 시민사회단체협의회, 총동창회, 지역주민 등은 단과대 이전 반대에 따른 성명서를 잇따라 발표, 대학교내 항의집회, 거리 서명운동, 교육부 항의방문 등을 통하여 분명하고도 결연한 의지를 보여줬다.

그러던 중 다행스럽게 교육부가 지난 19일 “학과 이전 및 정원 조정에 따른 반대의견이 많으므로 학내 구성원 및 지역주민 등의 의견을 보다 충분히 수렴한 후 조정계획을 보완하라”고 대학측에 요구하면서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간 형국이다.

정부가 대학측의 일방통행식 구조개혁안에 대해 지역사회 여론이 제대로 수렴되지 않은 학사조정은 불가하다는 것으로서 재론의 여지가 없는 당연한 결과이며, 전 시민을 대표해 환영의 뜻을 표한다. 지역사회에서는 대학의 학사구조개혁안에 대해 향후 공과대학이 원주로 완전히 이전하는 첫 시발점으로, 종국에 강릉에는 소수학과만 남게 되어 지역의 침체를 가속화시켜 지역 발전에 심각한 위기가 초래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대학은 학문과 진리를 탐구하는 상아탑이면서도, 동시에 지역에서는 삶의 공동체로서의 하나의 중요한 축을 자리하고 있다.

지방대가 그 지역에서 뿌리를 내리고 굳건히 버텨줘야 지역이 살아나는 건 당연한 이치일 것이다. 또한, 지방국립대의 설립취지인 ‘성적은 우수하지만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인재들을 배출해 국가와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 제고’라는 기본책무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지방국립대의 궁극적인 존재 이유는 ‘지역과 함께 상생하는 지역균형 발전’에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대학측은 늦어도 7월까지 내년도 조정계획안을 다시 제출해야 한다. 지역사회에서는 학사구조조정 자체를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실정에 맞는 올바른 구조조정을 바라고 있다. 최근 들어 강릉에 진행되는 산업구조 개편을 볼 때 공과계열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 담보되고 있다고 본다.

대학과 지역산업의 긴밀한 산학협력 체제 구축강화와 기업수요에 맞춘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을 위해서도 오히려 공과계열 학과에 대한 증원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학사구조조정은 캠퍼스간 단순 학과 이전이 아닌, 각 캠퍼스별로 지역실정에 맞는 전략적인 특성화와 발전방안을 먼저 마련하려는 대학측의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교수들의 자질을 개선하고 더욱 특성화 된 강릉원주대만의 최고 학부를 만든다면 자연스레 학생들이 찾아올 것이다.

이러한 토양을 만드는 것이 공무원인 국립대 교수들의 책무일 것이다.

이와 함께 하루라도 빨리 대학측과 강릉시가 진솔하게 머리를 맞대고, 산학연계 등을 포함한 대국적인 발전방안을 협의해 주시길 바란다.

대학이 처한 현실이 어렵다고 하더라도, 지역사회와 함께 고민하고 상생하는 해법을 찾아야지, 대학측에서 독단적으로 밀어붙인다면 국립대로서의 기본적인 본분마저 망각하는 것이다.

다시 한번 강릉원주대학측에 간곡히 촉구 드린다. 더 이상은 단과대 이전문제로 지역사회의 에너지를 허비하는 일이 없도록 강릉시민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 주시기 바란다.

지금 강릉시는 2018동계올림픽 준비 등 지역사회의 지도를 바꾸는 획기적인 발전과 구조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시민들의 응집력을 하나로 모아도 부족할 시기에, 단과대 이전 문제로 소중한 시간을 허비하지 말아야 한다.

이번 기회에 단과대 원주이전 계획으로 빚어진 강릉원주대학과 지역사회의 갈등을 반면교사로 삼아 결자해지의 자세로 서로가 상생할 수 있는 발전적인 대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