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간 초단기 자금거래시 금리

photo_caption
 최근 경제기사를 읽다보면 과다하게 풀린 시중자금이 부동산 시장에 유입돼 과열을 부추기고 있으므로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콜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과 미국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우리 경제의 회복속도가 늦춰질 수 있는 상황에서 콜금리 인상은 시기상조라는 주장이 분분하다.
 콜금리란 은행, 투신사 등 금융기관간 초단기(보통 1일) 자금의 거래가 이뤄지는 콜시장에서 형성되는 금리를 말한다. 금융기관은 고객을 상대로 예금을 받아 대출이나 투자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자금 과부족을 콜시장에서 조절한다.
 콜금리는 금융기관의 자금조달 운용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이나 경기침체 등이 예상될 경우 경제안정을 위해 콜금리를 조정하는 통화정책을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매월 한국은행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여러 경제상황을 종합해 콜금리 목표를 정하게 되면 한국은행은 주로 환매조건부채권(RP) 매매를 통해 시중자금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콜금리 목표가 달성되도록 시장개입을 하게 된다.
 콜금리는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
 예를 들어 시중에 자금이 많이 풀려 경기과열과 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콜금리가 인상되면 금융기관의 자금조달비용이 높아져 은행으로 하여금 대출금리를 올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채권금리도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대출금리와 채권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가계와 기업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져 시중에 풀린 자금규모도 감소하게 된다. 이는 소비, 투자의 둔화로 이어져 과열된 경기를 진정시키고 물가상승압력을 약화시킨다. 또한 수신금리가 동반상승해 시중자금이 예금으로 이동하면서 부동산 시장의 안정에도 기여하게 된다.
 <한국은행 강원본부 기획조사팀 정흥순 조사역>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