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특구 전망·과제
亞 동계 메카도시·건강휴양도시 조성
민자유치·올림픽 이후 지속성장 관건

평창동계올림픽 지원위원회 정홍원 국무총리가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평창동계올림픽 지원위원회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오른쪽부터 김진선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 정 총리,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연합뉴스
‘평창동계올림픽특구 종합계획’의 정부 승인으로 강원도는 지역균형발전의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

3조3063억원이 투입되는 동계올림픽특구 조성사업은 평창과 강릉·정선 등 3개 시·군의 5개 특구, 11개 지구의 총 27.4㎢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올림픽 활동의 중심축으로 개·폐회식과 설상경기가 열리는 평창군 대관령면과 진부면 일원에 조성되는 ‘평창 건강올림픽종합특구’는 아시아 동계스포츠 메카도시 및 건강휴양도시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알펜시아 리조트를 중심으로 선수촌, 국제방송센터와 연계해 ‘국제회의도시’지정을 추진하고 기존 리조트업체 증설투자와 신규호텔 건립을 위한 외자유치도 추진된다.

저탄소 녹색도시와 사계절 문화·관광거점 지역으로 개발될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특구’는 체육시설단지와 경포해변 일원에 건설된다.

문화체육복합지구(0.6㎢)는 빙상경기장, 올림픽아트센터가 건설되면서 강릉지역 동계올림픽의 핵심지구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경포호 일원은 녹색비즈니스·해양휴양지구(2.2㎢)로 추진된다.

보광휘닉스파크와 이효석 문화마을을 대상으로 하는 ‘평창 봉평레저·문화창작 특구’는 수도권 시장을 겨냥한 레저 엔터테인먼트·문화예술공간으로 조성된다.

‘강릉 금진온천 휴양 특구’는 임상효과가 입증된 해양·온천자원을 활용, 복합휴양단지를 조성하고 정부의 선도사업인 외국인 의료관광산업의 허브로 육성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정선 생태체험특구’는 우수한 산림자원을 활용한 산악캠핑장과 수목원 등의 시설을 세우고 경기장 건설에 따른 보상주민 이주단지 조성 계획도 세우고 있다.

동계올림픽 특구사업은 전체 사업비중 80%(2조 6594억원)를 차지하고 있는 민자를 어떻게 유치하느냐가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경기 불황과 내수 부진 등으로 경기가 침체된 상태에서 당초 기대보다 특구 규모와 국비 지원이 축소돼 민자유치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군다나 최근 정부가 수도권 규제 완화를 본격화하려고 해 자칫 동계올림픽특구에도 악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높다. 또 하나의 과제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이후에도 지속성장이 가능한 특구로 개발돼야 한다는 것이다.

평창올림픽특구는 개·폐회식장, 올림픽선수촌 등 일부 올림픽지원 시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관광진흥개발 사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초기단계부터 지속성장 가능한 개발계획이 수립되지 않으면 올림픽 이후 조성된 관광시설이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강원발전연구원 노승만 기획경영본부장은 “초기 단계부터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개발계획을 수립해야 지역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은복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