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궁창성

서울본부 취재국장

# 2011년 7월 2일 오전 성남 서울공항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지원을 위해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으로 출국하는 이명박 대통령 내외와 수행원, 취재진을 태울 대통령 전용기가 활주로에서 굉음을 내고 있었다. 청와대는 이날 동계올림픽 평창유치를 바라는 국민의 열망을 담아 전용기에 평창올림픽 엠블럼을 부착했다. ‘대통령 휘장’을 떼고 평창 엠블럼을 붙인 것이다. 대통령이 오르내리는 트랩에도 평창 엠블럼을 부착하며 국민적 열망을 담아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가 마련한 단복, 조끼, 넥타이 등을 착용했다. 부인 김윤옥 여사도 평창 엠블렘이 새겨진 배지를 가슴에 달고 동계올림픽 유치를 염원했다.



# 2011년 7월 6일 오후(현지시각)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

더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장에서 열린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1차 투표에서 평창은 꿈의 과반수를 훌쩍 넘긴 63표를 획득했다. 독일 뮌헨은 25표, 프랑스 안시는 7표에 그쳤다. 자크 로게 IOC 위원장이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평창이 결정됐다”고 선언하자, 대한민국 객석에서 환호성이 터졌다. 한국 대표들은 “대한민국~”을 외치며 기쁨의 함성을 질렀고, 더반에 도착해 IOC 위원들을 1대 1일로 접촉하며 올림픽 유치에 공을 들였던 이명박 대통령과 유치위 관계자들은 서로 얼싸안고 환호했다. 같은 시각(7일 새벽) 평창 알펜시아리조트 스키점프대 앞에서 범국민 응원전을 펼치던 도민들도 유치가 확정되는 순간 서로 얼싸안고 뜨거운 눈물을 쏟았다.



# 2012년 1월 17일 평창 용평 돔 경기장

평창올림픽 유치후 현지에서 열린 성공개최 범국민 다짐 대회장은 한겨울 추위에도 열기가 가득했다. 대회장은 김진선 평창올림픽 조직위원장, 박용성 한국올림픽위원회(KOC) 위원장, 최문순 강원도지사, 평창동계올림픽 서포터즈와 개최지 시군 주민 등 300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가득 메웠다. 행사에 앞서 현장을 찾은 이명박 대통령은 알펜시아 크로스 컨트리 훈련장을 방문해 2018 평창올림픽에서 주전으로 뛸 꿈나무들을 격려했다. 이 대통령은 다짐대회에서 “평창 동계올림픽이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동계올림픽이 됐으면 한다. 정부도 성공한 올림픽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협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또 “올림픽이 끝난 후에도 세계 사람들이 평창에 모여들도록 평창이 경제, 문화 등 여러 부문에서 성공해 아시아의 동계 스포츠 메카가 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행사는 이 대통령과 김 위원장 등 참석자들이 ‘나에겐 꿈이 있어요(I have a dream)’를 합창하며 대미를 장식했다.



# 2014년 7월 31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

오전 7시쯤 프레스센터 20층 내셔널 프레스 클럽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가 소집한 제10차 위원총회에 참석한 위원들로 북적였다. 동해출신 김진선 전 조직위원장이 사퇴한 뒤 새로 내정된 조양호 위원장은 귀빈실에서 상기된 표정으로 김종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도영심 전 유치위원, 권성동 국회의원 등과 환담했다. 총회가 시작되자 발언권을 얻은 김시성 강원도의장은 김 전 위원장 사퇴, 도출신 인사 내정과 철회, 조 위원장 내정 등 일련의 과정에서 철저하게 소외된 강원도의 민심을 전하며 “이렇게 일방통행으로 강원도를 무시할 수 있나. 이렇게 하려면 평창올림픽을 문화체육관광부가 가져가라”고 일갈했다. 심재국 평창군수는 “강원도민의 피와 땀 그리고 국민적 열망으로 유치한 평창올림픽이 성공할 수 있도록 정부, 강원도, 개최지 시군, 조직위가 유기적으로 협력하자”고 호소했다.

성공개최 열기는 어느새 사라지고, 불신과 불화만 가득한 총회장을 나서는 기자에게 역사적인 평창올림픽 유치 전후의 순간들이 흑백사진이 되어 하나 둘 스쳐 지나갔다. 그리고 이제 3년6개월 앞으로 다가온 2018 평창올림픽이 선장과 주인을 잃고, 망망대해에서 표류하고 있다는 걱정이 뇌리를 엄습했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