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병화

세경대 교수

2015년은 양의 해이다. 양은 성질이 온순한 초식동물로 절벽과 초원, 사막 등에서 무리생활을 한다.

인류는 야생 양을 중석기시대부터 염소와 함께 사육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양을 이용하고 있다.

그렇다 보니 양은 동·서양에서 빼놓을 수 없는 정신문화의 산물이 되었다.

먼저 동양에서 양은 희생양(犧牲羊)이라 할 정도로 신에게 바쳐지는 물질적인 제물로 여겼다. 이는 양을 죽여 신에게 바치면 진리를 깨닫게 되고 모든 일이 잘 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유래한 것이다.

또 양은 무리를 지어 다니다가 되돌아 오는 습관이 있어 정직과 정의를 상징하기도 한다. 이러한 양에 대한 믿음은 한자에서도 등장한다. 즉, 양 양(羊)자가 아름다울 미(美), 착할 선(善), 상서로울 상(祥), 옳을 의(義) 등에 중요 문자로 들어가고 있다.

이는 양을 아름답고 착하며 상서로움의 상징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양과 관련된 꿈은 길몽으로 여겼다. 이성계가 꿈 속에서 양을 잡으려 하자 뿔과 꼬리가 떨어져 나간 것이다. 이를 신기하게 여긴 이성계는 무학대사에게 해몽을 부탁했고, 무학대사가 이르길 양(羊)자에서 뿔과 꼬리가 빠지면 임금 왕(王)자가 되므로 왕이 될 운명이라 하였다는 것이다.

결국 무학대사의 예언처럼 이성계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가 되었다.

한편 서양에서 양은 성경에 가장 많이 언급되는 동물로 기독교 역사상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요한복음 1장 29절 “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가로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 에스겔 제 35장 31절 “내 양 곧 내 초장의 양 너희는 사람이요”, 이사야 제 54장 6절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무리의 죄악은 그에게 담당시키셨다”라는 대표적인 구절이 나온다.

이와 같은 표현은 양이 곧 예수이며 백성임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 양을 고난과 부활의 상징으로 여긴 것이다.

이 처럼 동서양에서 양은 긍정적이며 선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과연 양의 해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사실 역사적으로 보면 힘들고 어려운 일들이 더 많았다. 1871년(신미) 제너럴셔먼호사건을 빌미로 미국이 침략한 양요, 1895년(을미년)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가 명성황후를 시해한 사변, 1919년(기미년)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인 3·1운동,1979년(기미년) 군부 실세인 전두환·노태우가 일으킨 12·12사건 등이 일어난 해가 바로 양의 해이다.

비록 힘들고 어려운 시기였지만 우리 민족은 위기를 기회라 여기고 새로운 시작을 생각하며 우직하고 정직하게 양처럼 슬기롭게 이 모든 것들을 이겨냈다.

마지막으로 ‘양 대가리 걸어 놓고 개고기 판다’라는 속담이 있다. 양두구육(羊頭狗肉)이라 해서 겉으로는 좋아 보이지만 실제 속으로는 그렇지 않다라는 뜻이다.

2015년에는 이런 속임수가 없는 양의 본래 성질처럼 순수하고 자비로운 한해가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