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부산대 한 교수가 ‘총장 직선제폐지’에 반발해 자살했다. 이와 관련해 부산대총장이 사퇴하고 대학 측은 총장직선제폐지를 철회하는 학칙개정을 결정했다. 교수의 자살이 부산대 역사를 바꿨다. 탈렌트 최진실의 자살은 ‘최진실법’을 탄생하게 했다.당시 아이들의 친부였던 조성민이 친권을 갖게 될지도 모른다는 여론에 비슷한 처지의 싱글맘들이 나서서 최진실법촉구 분위기를 조성했다. 이혼부모중 한쪽이 사망할 경우 생존한 사람이 친권을 자동적으로 갖는 것이 아니고 법원이 심사를 통해 친권자를 정하도록 한다는 것이 최진실법이다.

부산대교수나 최진실같이 본인의 자살이 큰 잇슈의 파장으로 이어져 사회변화의 단초를 제공했다하더라도 사랑하는 사람의 자살은 주변 사람들에게 치유 어려운 트라우마를 남긴다. 아마도 유럽에서 오랜기간 자살을 살인과 버금가는 중형으로 취급한 것도, 부도덕하다고 비난한 것도 이만저만 아닌 파괴력을 염두에 두어서 일 거라 짐작해본다.

OECD국가중 1위라는 대한민국 자살율이 올해도 변함없다.우리나라 자살율은 인구 10만명당 29.1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 12.0의 두배 이상이다. 자살율을 줄이겠다는 그간의 노력은 별로 없었던 것으로 이해해도 무방할 수치이다. 동호문답에는 ‘비슷한 문제가 반복되어 일어난다면 이는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한다 하더라도 수정을 위한 별 뾰족한 방법 즉 대안이 없다거나이다.’라고 말한다 .10년 이상 자살율이 세계 최고 국가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우리사회의 구조적 병폐가 약자의 자살을 방조함을 시사하고 그것에 대한 위기의식 또한 없음을 뜻한다.위정자들의 반성이 필요한 이유이다.

자살율은 절망의 정도가 아니라 사회가 사람들 사이에 어떤 끈을 만드는 지에 달려있다는 사회학자 듀르케임의 말에 전적으로 공감한다.자살은 개인문제이면서 사회문제이지만 왜 이들이 극단적 행동을 할 수 밖에 없었는지 분석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것은 사회적 합의에 의해 협심되어져야 하는 국가전체의 일이기 때문이다. 말이 서툰 사람의 말도 귀담아 들어야 군자라는 공자의 말을 되새기는 노력만이 ‘치욕의 일등’을 끝낼 수 있다,

조미현 기획출판부 국장 mihyun@kado.net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