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세호

민주평통 속초시협의회장

지난 9월 발생한 북한 함경도의 홍수피해가 심각하다. 가옥 1만7180여 채가 소실되고 4만 400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한다.

설사와 급성호흡기 전염병에 걸린 수재민들도 늘고 있다. 홍수로 함경북도 내 몇몇 보건소는 완전히 무너졌다. 시 단위 병원 두 곳도 큰 피해를 입었다. 의료기구와 의약품 등도 홍수에 휩쓸려갔다. 고립된 ‘리’ 단위 마을에 대한 접근도 절실하다. 겨울에 대비해 이재민들을 위한 거처 마련과 식수지원이 시급하다. 이런 상황에서 스웨덴 정부는 최근 북한 함경북도의 수재민들에게 47만 달러(5억 3000여만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스웨덴 정부의 지원금은 함경북도 수재민들에게 임시 거처와 화장실을 마련해주고 깨끗한 식수와 위생품 등을 지원하는데 사용된다.

이번 수해로 국경지역 철조망이 유실돼 주민 탈북사건이 다수 발생하자 이에 대한 상황 파악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이번 홍수로 없어진 사람들이 많다. 집과 농작물 모두 건질 것이 별로 없는 일부 주민들은 아예 친인척이 있는 다른 지역으로 가기도 했다. 홍수에 떠밀려 사망했는 지 아니면 탈북 했는 지 생사를 알 수 없는 주민들도 많다. 수해로 사망된 사람들 중에는 형체를 알 수 없는 시신도 있다. 김정은은 여전히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가속화 하고 있다. 그러면서 국제 사회에 인도적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북한 유엔 대표부 권정근 참사는 탈북수해 현황을 설명하며 긴급자원을 요청하는 이메일을 미국 대북지원 단체들에 발송했다. 김정은 정권의 사기성과 이중성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는 이유다. 북한은 핵 프로그램을 위해 적어도 15억 달러를 쏟아 부었다. 이 금액이면 북한주민의 식량난과 수해 피해를 극복하고도 남는다. 그동안 국제사회와 북한지원 단체들은 북 핵과 인도지원을 분리해 실시한다는 입장이었다. 우리나라 정부도 대북 인도적 지원과 북한의 5차 핵실험 문제를 연계하고 있다. 사실상 지원 거부의사를 명확히 한 것이다. 다수의 인도지원단체도 최근 수해지원에 대해 ‘재고(再考)’하고 있다. 대북지원이 결국 김정은의 장악력만 강화하고 주민들의 어려움을 해결 하는 데는 아무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수해로 고통 받고 있는 주민들이 걱정이다. 고통 받는 주민들을 무작정 외면할 수는 없다. 인도적 지원은 제재 대상에서 배제해야 한다. 국제사회의 인권원칙에도 맞지 않는 일이다. 북한당국이 밉더라도 같은 민족의 고통을 ‘모르쇠’하는 것 역시 인도(人道)는 아니다. 심각한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남북갈등을 더 이상 방치 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없다. 국민의 뜻을 모아 북녘주민들과의 상생의 길에 대해 조심스런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수해복구 지원을 비롯한 제재위주 대북정책 전환이 필요하다.

특히, 강원도에 접해있는 금강산 관광도 하루속히 재개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