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경배

강원발전연구원 기획경영실장

흔히 강원도를 미래의 땅이라 부른다.이는 강원도가 미래에 쓰일 자원가치가 크다는 희망적 의미와 함께 ‘나중에 보자’라는 현재 회피의 의미를 동시에 가진다.어느 사회에서나 일자리가 있는 곳에 사람과 자원이 몰린다.농업사회나 산업사회,그리고 현재 지식사회에서도 마찬가지다.일자리 측면에서 본다면 과연 강원도는 미래의 땅으로 충분한가?강원도의 자연환경이 우수하다는 것은 확실히 자랑할 만하다.하지만 그것이 일자리 창출을 보장하는 역량이 될 수는 없다.오히려 인적·물적자본의 축적이 미약한 강원도는 자칫하면 영원히 ‘미래의 땅’이라는 미사어구에 휘둘릴 가능성이 크다.

강원도의 일자리 창출구조는 취약하다.약 73만명의 취업자 중 12%가 농림어업에 종사하고 제조업은 7%에 불과하다.서비스 부문에서도 약 4분의 1은 행정,교육,보건복지 등 공공서비스적 성격의 일자리가 차지하고 있다.그러다 보니 자영업 부문이 30%이고 무급가족 종사자도 7~8%로 높다.청년일자리는 좀 더 심각하다.2015년 강원도 청년고용률은 33.8%로 전국 평균(41.5%) 보다 현저히 낮다.같은 해 청년실업률은 12.8%이며 전국평균(9.2%)보다 높고,꾸준히 하락하고 있다.청년고용 하락과 실업 증가는 고학력 젊은층 인구유출로 이어지고 있다.도내 대학졸업자의 지역 잔존율이 전국 7개 권역 중 가장 낮은 것은 이를 방증한다.과연 이러한 일자리 구조를 가지고 미래의 땅이라 할 수 있겠는가.특히,강원도에 청년들이 떠나서는 미래의 강원도를 보장할 수 없을 것이다.

2015년 강원발전연구원에서 실시한 일자리 미스매칭 분석결과,노동수요 부족으로 인한 미스매칭이 전체의 84.4%로 전국 평균 68% 보다 현저히 높다.또한 기업체와 구직자간에 선호업종 불일치로 나타나는 구조적 미스매칭도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다.즉,기업체는 단순노무직 혹은 기술기능직을 선호하는 반면,구직자는 전문직 혹은 사회복지·문화예술직을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도내 전략산업 육성과 기업유치가 근본적인 해결책이지만,그것이 그리 녹록치 만은 않다.강원도가 미래의 땅이 되기 위해서는 미래의 일자리를 선점해야 한다.이를 위해 친환경에너지산업,치유·힐링산업,해양 크루즈산업,헬스케어산업 등 강원도에 필요한 미래 신수종 산업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현장중심형 고급 전문가 양성을 통해 새로운 산업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지역중소기업 정책의 획기적 전환이 필요하다.이를 위해 향토산업 위주의 특화업종을 중심으로 도내 농공단지내 기업집적을 통해 농공단지를‘전문·특화단지’로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농공단지 브랜드화 사업 추진을 통해 이미지를 개선하여 젊은층의 선호도를 높이고,생산의 장을 넘어서 관광·여가 복합공간으로 재창조되어야 한다.

사회적경제 영역의 규모화·고도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질높은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기존의 임시적,단기성 재정지원일자리 사업을 사회적경제 일자리사업으로 통합·운영하여 지속가능한 일자리로 유도해야 한다.특히 강원도 취업구조를 감안하여 농업농촌,사회서비스,문화예술분야를 주축으로 사회적경제 영역에 청년층 주도의 틈새 일자리를 창출하여 노동시장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 사회적경제 기업에 과학기술을 접목한 융합형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규모화·계열화를 통해 지역기반·기술기반의 사회적경제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이를 위해 2018평창동계올림픽에 고도화·규모화된 사회적 기업들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