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숙 횡성군의원

▲ 김영숙 횡성군의원
▲ 김영숙 횡성군의원
청년복지라는 말이 이 사회의 화두로 등장한지 오래됐다.
그동안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우리사회의 복지라는 말은 노인복지가 대명사처럼 여겨져 왔다.그러나 지금 대한민국의 사회는 부모와 자식세대,노년과 청년 세대간 일자리를 놓고 밥그릇 싸움을 벌이는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동안 중장년층의 일자리와 노년층 일자리에 사회적 관심이 치중되어 왔고 그것이 당연한 것이었다.
지금 이 땅의 청년들 현실을 보자! 입시위주의 초·중·고를 거쳐 치열한 입시경쟁을 뚫고 들어간 대학은 높은 등록금으로 부모의 부담을 덜기 위한 아르바이트와 취업난을 대비한 스펙쌓기 전쟁을 벌이고 있다.대학졸업이라는 긴학업의 터널 끝을 빠져 나와 마주한 사회는 취업난,불안정한 일자리,천정부지 집값,물가상승,높은생활비 등으로 청년들을 좌절하게 한다.그래서 연애·결혼·출산을 늦추거나 포기하는 3포세대라는 말을 넘어 인간관계와 내집 마련까지 포기하는 5포세대에 이어 꿈과 희망도 포기했다는 7포세대,심지어 계속해서 포기할 것이 늘어나서 셀 수조차 없어진 N포세대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청년들의 희망이 없으면 우리 사회의 희망도 없다.이제 장차 우리 사회를 이끌어 갈 아들,딸에게도 따뜻한 관심과 함께 청년을 위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 정부가 추진하는 청년희망펀드와 청년고용증대세제,성남시의 청년배당,서울시의 청년보장 등 청년정책들이 나오고 있다.일각에서는 포퓰리즘 정책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지만 이들 모두가 우리 사회 청년들이 처한 현실의 절박함에 대한 시도들이라고 생각된다.청년복지에 있어 가장 시급한 문제는 젊은 노동력의 실업 문제이며,그 대안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가장 명확한 해답이 있음에도 실효성 있는 정책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정부와 자치단체에서 개최하는 청년 일자리박람회등은 보여주기식이고 그마져도 일회성 행사 수준에 그치고 있어 대부분 대학을 졸업한 고등 미취업자인 청년의 눈높이를 맞추기에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정부는 우선 일자리 양극화 노동시장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획기적 방안이 절실하며,청년고용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등 다양한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이 뒤따라야 한다.
청년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느껴지는 지방자치단체는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과 대도시로 떠난 청년들로 출산율이 저하되고 고령화 인구 구조로 재편된 지 벌써 오래되었다.지방 자치단체는 이런 바람직하지 못한 사회구조를 바로잡기 위해 젊은이들에게 매력있고 건실한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노력을 기울이고,청년들의 구직과 직업교육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정책과 고용될 때까지 자리를 주선하는 도우미 창구등을 추진하는데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동안 복지가 어려운 가구와 노인지원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면 이제는 청년복지의 현실적 문제인 일자리 해결에 관심과 배려를 기울여야할 때이다.청년복지는 비용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사회 미래에 대한 투자라는 측면에서 정책이 구상되고 추진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