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차원의 총력 대응 미흡,효과 반감 우려 해소 대책 세워야

1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 동계올림픽을 강원도의 지역 행사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강원도민이 먼저 꿈꾸고 땀과 열정을 모아 이뤄낸 올림픽이지만 여러 면에서 기념비적 국가대사가 돼야 한다.재론의 여지없이 평창올림픽은 지난 88년 하계올림픽과 2002년 한일 월드컵의 뒤를 이어 국제스포츠이벤트의 그랜드슬럼을 달성하는 의미가 있다.단순한 스포츠대회가 아니라 대외적으로 우리나라의 총체적인 역량을 평가받는 무대가 될 것이 분명하다.
지난 2011년 꿈에 그리던 개최권을 따내고 6년여의 세월이 흘렀다.그리고 지난 9일 대회 G-1의 카운트라인을 넘어 내년 2월9일 개막 축포의 순간을 향해 달려간다.개최지인 평창과 강릉,정선에서는 이달부터 각종 국제대회가 잇달아 열리면서 내년 올림픽을 최종 점검하고 있다.그동안 대회 준비가 여러 이유로 지연돼 걱정이 많았다.경기장 건설이 늦어지면서 걱정이 컸으나 연 이은 테스트이벤트에서 완벽한 시설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물론 부분적으로 미흡한 점이 드러나고 보완할 곳도 적지 않지만 큰 틀에서 대회인프라 구축이 안정 궤도에 오른 것으로 평가 할만하다.개최지 주민들의 열기도 살아나고 해외 관광객들도 가세하면서 가라앉은 올림픽 열기를 살려낼 불씨가 되고 있다는 것은 다행스럽다.그러나 남은 1년 할일은 많고 갈 길은 여전히 멀다.평창올림픽의 성격과 여기에 걸린 기대를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그래야 남은 1년의 각자의 역할이 나올 것이다.
대회 1년을 앞둔 시점을 전후 테스트이벤트와 아울러 각종 기념행사가 다채롭게 펼쳐졌다.그러나 이번 대회를 통해 우리나라의 국격을 한 단계 끌어 올리겠다는 범 정부차원의 의지와 전략을 읽을 수 없었던 것은 유감이 아닐 수 없다.사실상 대회 전 최종 점검의 의미가 있는 테스트이벤트과정에서 정부의 관심을 확인할 만한 움직임을 볼 수 없었던 것이다.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대회를 지원하고 붐을 일으키려는 노력이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지금까지 테스트이벤트 과정을 통해 드러난 허실을 보완하기 위한 조치에 정부차원의 구체적인 조치가 나와야 한다.올림픽 준비 주체들 간의 노력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시너지를 내도록하는 데 정부의 몫이 크다.정치권도 올림픽 관련 입법이 조기에 통과되도록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가장 큰 책임이 있는 정부와 정치권이 이렇게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해서는 안 된다.정부와 정치권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구슬을 꿰는 역할을 자임해야 한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