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4분기 증가액도 신기록…저금리·부동산 경기 영향
비은행예금기관 사상 최대 42조↑…은행권 심사강화 '풍선효과'
작년 4분기 카드 등 판매신용도 4조8천억원 급증

GYH2017022100060004400_P2.jpg
가계부채가 빠른 속도로 불어나 1천300조원대 중반으로 진입했다.

지난해 증가액은 140조원을 훌쩍 넘으면서 사상 최대치 기록을 또 깼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가계신용 잔액은 1천344조3천억원으로 2015년 말(1천203조1천억원)보다 141조2천억원(11.7%) 급증했다.

한은이 가계신용 통계를 내놓기 시작한 2002년 이후 잔액이 1천300조원을 돌파하기는 처음이다.

연간 증가액은 2015년(117조8천억원)을 뛰어넘어 사상 최대 수준이다.

작년 4분기 증가액(47조7천억원) 역시 분기 기준으로 가장 많았다.

2017년 1월 31일 서울 시내 한 은행의 대출 창구 앞.

가계신용은 가계가 진 빚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통계다.

가계가 은행이나 보험, 대부업체, 공적금융기관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 뿐 아니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포함한다.

지난해 가계부채가 폭증한 것은 부동산 경기 활성화와 저금리 기조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강남 등 서울지역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주택시장 열기가 뜨거웠고 분양권 전매차익을 노리는 투자수요로 청약이 과열 양상을 보였다.

여기에 한국은행이 작년 6월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연 1.25%까지 낮추면서 시중 유동성이 풍부해졌다.

가계신용을 부문별로 보면 가계대출 잔액은 1천271조6천억원으로 1년 사이 133조6천억원(11.7%) 늘었다.

특히 제2금융권으로 분류되는 비은행금융기관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신탁·우체국예금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291조3천억원으로 작년에 42조6천억원(17.1%) 불어났다.

연간 증가액이 사상 최대치이고 2015년 증가액(22조4천억원)의 거의 2배 수준이다.

지난해 은행권의 대출심사 강화에 따른 이른바 '풍선효과'의 결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이 작년 2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에서 소득심사를 강화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수도권에 도입했고 5월에는 이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저신용·저소득층이 제2금융권으로 대거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상용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비은행권의 가계대출 급증에 대해 "큰 맥락에서 보면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으로 은행들이 리스크(위험) 관리를 강화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2016년 12월 14일 서울 을지로의 한 은행에서 시민이 대출상담을 하고 있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617조4천억원(주택금융공사의 모기지론 양도분 제외)이다.

작년 증가액은 53조7천억원으로 2015년(44조1천억원)에 비해 9조6천억원 많았다.

예금취급기관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561조3천억원으로 60조원 늘었다.

보험과 연금기금, 카드사 등 '기타금융 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362조9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가액이 37조3천억원으로 2015년(46조3천억원)보다 축소됐다.

'기타 금융기관' 중 주택금융공사와 주택도시기금의 가계대출은 지난해 15조3천억원 늘어난 122조9천억원이다.

증가 규모는 2015년(33조원)의 절반을 밑돌았다.

판매신용 잔액은 작년 12월 말 현재 72조7천억원으로 1년 사이 7조6천억원 늘었다.

특히 작년 4분기(10∼12월)에 4조8천억원 늘었다. 증가액이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다.

이상용 팀장은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소비촉진 행사와 크리스마스 등 연말 효과로 카드 사용액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용카드회사의 판매신용(54조원)은 지난해 5조2천억원 늘었고 할부금융회사(17조7천억원)는 2조4천억원 증가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